`야생`의 삶 혹은 `문명`의 삶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16:36
본문
Download : `야생`의 삶 혹은 `문명`의 삶.hwp
자신의 작품이 패로디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은 현대인의 과잉된 자의식일 뿐이다. 물론 패로디와 그 效果(효과)를 지적할 수는 있따 하지만 그것을 이 시대만의 특징이라고 과장하는 것은 자본주의적 욕망의 일그러진 누전일 뿐이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순서
1. 사람은 언제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공자는 일찌기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을 했다.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 사람은 언제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공자는 일찌기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을 했다. 그렇다면 그 `도`... , `야생`의 삶 혹은 `문명`의 삶인문사회레포트 ,
`야생`의 삶 혹은 `문명`의 삶
1. 사람은 언제 기꺼이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 공자는 일찌기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말을 했다.` 모든 것은 언제나 이미 다시쓰기였다. 사가들에 의해 어떻게 분류되건 간에, 예컨대 엘리어트의 장시 [황무지]가 그러하듯이, 진공에서 태어난 것이란 없는 까닭이다. 그렇다면 그 `도`라는 것은 무엇인가? 그 `도`가 바로 `그` 도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확신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무엇때문에 기다릴 필요가 있는가? 그날이 지금 당장 왔다고 치지 말란 법이 어디 있는가?`(미셸 투르니에, [방드르디 혹은 태평양의 끝], 김화영 역, 중앙일보사, 326)
2. 인간의 행위를 역싸의 관점에서 보는 것은 항상 위험을 내포하고 있따 그것은 마치 그 행위가 역싸의 텔로스를 위해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진다는 점 때문일것이다
그러나 그 역싸 주변에도 삶은 존재하며, 아무도 그 삶을 부정할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그 `도`...
Download : `야생`의 삶 혹은 `문명`의 삶.hwp( 46 )
다. 저작권의 소유자로서의 저자가 강조되기 이전 사회에서 패로디 혹은 베끼기는 공기처럼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며 경솔하게 과장되지도 않았다. 따라서 다시쓰기(reecriture)라는 特性을 강조해서 [방드르니 혹은 태평양의 끝]과 같은 작품을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분류한다는 것은 우스꽝스런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