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민족분단 > kado8 | kado.or.kr report

민족분단 > kado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8

민족분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3:39

본문




Download : 민족분단.hwp




김구는 해방후의 정계에서 이승만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강력히 펴고 있었다. 요컨대, 미·소 양군이 한반도를 분할점령한 후에도 민족분단을 막고 통일된 민…(省略)




민족분단_hwp_01.gif 민족분단_hwp_02.gif 민족분단_hwp_03.gif 민족분단_hwp_04.gif 민족분단_hwp_05.gif 민족분단_hwp_06.gif

순서




민족분단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 , 민족분단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Download : 민족분단.hwp( 85 )



다. 우익의 좌파라 할 수 있는 김규식과 좌익의 우파라 할 수 있을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좌우합작운동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중도적 정치세력의 지지를 받고, 또한 한반도가 공산화되지 않는 한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따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을 아직은 버리지 않고 있던 미국의 원조를 받으면서 추진되었다. 민족통일국가 수립운동으로서의 좌우합작운동의 실패는 민족분단의 또 하나의 원인(原因)이었다.
좌우합작운동이 실패하고 이승만계열 분단국가 수립획책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되었을 때 민족분단을 저지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서 남북협상이 김구, 김규식 및 북한의 집권층 사이에 기도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의한 분단국가 수립이 획책되고 있을 즈음인 1946년 중엽에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민족운동으로서의 좌우합작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좌익의 극좌화 그리고 우익의 극우화가 급격히 추진된 데다가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한 편 단독government 수립 획책이 강화되고 미국의 한반도 정책이 단독government 수립대책으로 바뀜에 따라 이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승만계와 한민당의 반탁운동이 결국 단독 government 수립론으로 나아가게 되자 그는 이 대열에서 이탈하여, 좌우합작운동의 주역이던 김규식과 손잡고 단독government 수립노선에 반대하고 남북협상을 추진했으나 분단국가 수립획책을 저지할 수 없었으며 마침내 남북에 분단국가가 성립됨으로써 민족분단은 기정사실화되었다.
좌우합작운동이 갖는 역사(歷史)적 의미는 이 운동이 제시한 합작조건이 대체로 식민지시대 말기의 독립운동전선에서 형성되어가던 민족연합전선이 제시한 민족국가 수립대책과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또한 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대책과도 그 궤를 같이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전체 12,04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