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 kado8 | kado.or.kr report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 kado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8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6 02:23

본문




Download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hwp




이런 코드들은 기종간 호환성도 없고 한글의 과학적 characteristic(특성)이 무시되어 그 처리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up한국컴퓨터과학기술의혁신과정보기술산업정책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



순서



I. 문제제기

II. 한국컴퓨터과학기술 관련 정책의 약사

III. 60-70년대 산업정책

IV. 80년대 산업정책

V. 90년대 산업정책

VI.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의 시대별 특징 및 쟁점






한글코드 표준화 작업의 사회과정
70년대는 하드웨어 보급과 도입, 政府(정부)의 주도에 의해 앞만 보고 달린 꼴이었다.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에 대한 글입니다.
이와 같은 사정에 나름대로 정한 원칙을 중시하여 한글코드와 한자코드 및 키보드 배열 표준시안이 마련되었다. 복수의 기술체계에서 하나를 선택하여야 했다. 그 의무사항 가운데 하나가 수 십여 종이 난립해 있던 한글코드나 키보드 자판 배열의 통일 등 컴퓨터 분야의 표준화문제였다.
1974년 9월, 과학기술처가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통해 작성한 政府(정부)표준 한글코드는 자소(초, 중, 종성의 단위)의 값을 7비트로 규정하는 7비트 N바이트 방식으로서 글자 하나의 값을 통틀어 2바이트(16바이트)로 규정하고 있는 지금의 KSC 5601 표준코드와 근본적으로 상이하였다. 이 표준…(skip)


다. 이 7비트 N바이트 한글코드는 컴퓨터 보급이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공급회사도 10여 개에 불과한 매우 적은 조건에서 政府(정부)가 일방적으로 제정한 것이었다. 그러나 80년대는 컴퓨터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되면서 政府(정부)와 기업계는 앞뒤뿐만 아니라 좌우도 함께 살펴야 할 여러 가지 정황이 가시권에 들어오기 처음 했고 그럴 의무를 절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결과 컴퓨터 공급회사들이 편의적으로 만든 수 십여 종의 코드가 사용되게 되었다.

Download :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hwp( 24 )


up한국컴퓨터과학기술의혁신과정보기술산업정책

설명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1.gif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2.gif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3.gif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4.gif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5.gif 한국%20컴퓨터%20과학기술의%20혁신과%20정보기술산업정책%201967-1997_hwp_06.gif
레포트/인문사회






한국 컴퓨터 과학기술의 혁신과 정보기술산업정책: 1967-1997에 대한 글입니다. 이것은 한국인이 사용하는 언어인 한글과 한자를 컴퓨터에 제대로 입력하고 출력하려는 시도 그 자체 였다. 한자코드에 대한 규정도 없고, 많은 문제점(問題點)을 안고 있었다. 그 제정과정에서 업계나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지 못하였다. 특히 한글코드의 통일은 기본적으로 컴퓨터 키보드에서 한글을 입력해서 모니터나 프린터에 그대로 출력되어 나오도록 하는 컴퓨터 부호처리 체계를 국가 차원에서 표준화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기존의 컴퓨터 하드웨어 업체에서는 자사의 한글코드만으로 충분하다고 간주하고 있어서 政府(정부)로서는 새로운 기술체계의 선택이 필요하였던 것이다.
전체 12,04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