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공존의 그늘을 벗어나라, 난지도를 찾아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1 23:44본문
Download : 공존의 그늘을 벗어나라, 난지도를 찾아서.hwp
다. 쓰레기 매립지로 결정된 후 사유지는 모두 서울시에 의해 매립되었으며, 난지도 내의 거주자는 밖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이 일대는 난지도 제방 축조 공사이후 땅값이 크게 올라 평당 1만 5천…(drop)






본 는 대도시 위생매립지와 그 future 적 함의에 대해 조사정리(arrangement)한 보고서입니다. 난지도에서 농사를 짓던 사람들은 대부분 상암본동에 살면서 나룻배를 타고 건너다니며 농사를 짓거나 삯일을 하였으며, 1960년대에는 상암동의 거의 모든 집이 난지도에서 재배되는 수수줄기로 빗자루를 만드는 부업을 하였다. 1952년부터 1970년 까지는 전쟁고아들의 공동체인 삼동소년촌이 YMCA의 후원을 받아, 난지도 내에서 농경지를 개간하고 생산 활동을 하면서 살고 있었으나 홍수로 인해 1970년에 샛강 건너 편으로 이전하였다. 난지도에서 주로 재배되던 작물은 홍수에 강한 수수,땅콩,채소 등이었으며 침수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고지대에는 집을 짓고 사는 사람들도 있었다.
`난지도 쓰레기장화 사유지 52만평 매입키로“
서울시는 3일 난지도 87만8천 2백70평을 도시계획법상의 쓰레기 처분장으로 결정고시하고 이중 사유지 52만8천평을 감정원 감정가격으로 연차적으로 매입키로 했다.본 자료는 대도시 위생매립지와 그 미래적 함의에 대해 조사정리한 보고서입니다. 해방 후 난지도의 대부분은 적산토지로서 사유지는 일부에 불과 했으나, 쓸모없는 곳이라 하여 방치 되어 있었기 때문에 해방과 6.25사변 후의 혼란기에 개인소유로 등기되는 부분이 늘어났다. 또한 땅값이 싸고 땅콩 줄기를 사료로 이용할 수 있다는 등의 잇점 때문에 1970년대에는 난지도에서 비육우를 키우는 사람들이 생겼으며, 매립지로 결정될 무렵에는 50내지 60 호 정도가 난지도 내에 가건물을 짓고 농사와 육우를 하면서 흩어져 살고 있었다.난지도기말 , 공존의 그늘을 벗어나라, 난지도를 찾아서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Download : 공존의 그늘을 벗어나라, 난지도를 찾아서.hwp( 78 )
공존의 그늘을 벗어나라, 난지도를 찾아서
,경영경제,레포트
난지도기말
1. 문제의 제기
2. 난지도의 과거와 현재의 공간적, 생태적, 사회환경적 alteration(변화)
2.1 과거(매립전)의 난지도
2.1.1 자연 환경적 측면
2.1.2 사회환경적 측면
2.2 매립당시 난지도
2.2.1 자연 환경적 측면
2.2.2 사회환경적 측면
2.3 현재의 난지도
2.3.1 자연환경적 측면
2.3.2 사회환경적 측면
3. 난지도 매립지 안정화 사업에 대하여
3.1. 사업 전 난지도 매립지의 問題點
3.2 위생매립이란?
3.3. 안정화 사업
3.4. 향후 난지도의 해결해야할문제
4. 폐기물 매립지와 관련된 두 가지 갈등
4.1. 세대내 가치와 갈등
4.2. 세대간 갈등의 문제와 골프장 건설
5. 외국의 매립지 事例 - 캐나다 킹스턴 시의 事例
6. 출처
2.1.2 사회환경적 측면
난지도는 한강의 다른 하중도들과 마찬가지로 상습침수지구 였으며, 일부가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었다. 난지도 입지선정과 관련해서 헐값에 토지수용을 반대하는등 지역주민과 마찰이 있었으나, 매립장 입지선정과 직접적으로 피해를 보는 난지도 주민은 수백명 안팎의 소수 였기 때문에 당시 심각하게 고려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