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자동제어 부품 실험 > kado7 | kado.or.kr report

자동제어 부품 실험 > kado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7

자동제어 부품 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8:42

본문




Download : 자동제어 부품 실험.hwp




코일에 전원이 입력되면 전자석이 되어 상단의 접점이 코일 중심과 연결되어 접점이 연결되는 형태로써 이때 코일과 코일중심은 절연되어 있다. NO 스위치는 스위치의 OFF 위치인 평상시에 단락되어 있다가 스위치를 ON에 위치시키면 연결되는 형태로,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A접점이라고 부른다. NC스위치는 평상시에 연결되어 있다가 스위치가 작동되면 단락되는 형태로서, 작업 시 비상상황이 발생할 때 신속히 전원을 제거해야 할 경우 사용되며, 보통 B접점 이라고 부른다. 본 experiment(실험)에 사용된 자동제어부품은 사진 1과 같이 스위치, 입력전원(SMPS), 릴레이, 온도제어기, 마그네틱센서, 적외선센서, 단자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품의 명칭 및 기능이 표 1에 나타나있다. 본 experiment(실험)에서는 AC 220V를 입력전원으로 사용하였으며 experiment(실험)자의 안전을 위해 experiment(실험)자가 분리하지 못하도록 안전하게 설치되어있다.



4) 제어회로를 직접 구성, 각 부품의 연결도면을 작성
3) 홈오토메이션 중 조명제어, 방범제어, 온도제어를 실험으로 확인

순서
2)SMPS
자동제어 부품 실험



다.
1) 스위치

2) KS C 0102의 전기용 기호를 숙지

자동제어 부품 실험,자동제어



사진 4에서 보여 주듯이 릴레이란 사람의 손이 아닌 코일에 전기를 공급하여 전자석을 작동시켜 접점을 연결시키는 스위치를 의미한다. 스위치가 OFF 상태에서 B부분이 연결되고 A부분이 분리되며, ON 상태에서 B 부분이 분리되고 A부분이 연결된다.


설명
1) 자동제어부품의 원리를 이해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그림 1과 같이 NO(Normal Open), NC(Normal Close) 스위치로 구분할 수 있다.


자동제어 부품 실험-7117_01.jpg 자동제어 부품 실험-7117_02_.jpg 자동제어 부품 실험-7117_03_.jpg 자동제어 부품 실험-7117_04_.jpg 자동제어 부품 실험-7117_05_.jpg

사진 3에서 보듯이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는 AC 85~264V의 입력전원을 회로 내에서 요구되는 DC 24V의 출력원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Download : 자동제어 부품 실험.hwp( 65 )



5) 홈오토메이션과 온도센서에 대한 를 조사
3) 릴레이

1) 자동제어부품의 원리를 이해 2) KS C 0102의 전기용 기호를 숙지 3) 홈오토메이션 중 조명제어, 방범제어, 온도제어를 실험으로 확인 4) 제어회로를 직접 구성, 각 부품의 연결도면을 작성 5) 홈오토메이션과 온도센서에 대한 자료를 조사

사진 2에는 1A, 1B 스위치라 불리는 A접점과 B접점이 같이 존재하는 스위치를 보여준다.
전체 12,11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