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0 01:18본문
Download :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hwp
그는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납득할 수 없는 무시무시한 광기로 가득 찬 나치즘을 수용하고 지지한 대중들의 심리를 分析(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적으로는 `사회적 조건`과 `이데올로기` 사이에 `사회적 성격`이라는 개념(槪念)을 설정하였으며 이 3자의 역학관계에 의해 歷史와 사회의 변동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프롬의 주장은 너무나 원론적인 것이어서 때로 공허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문제 인식과 방향 설정에 하나의 유효한 도구가 됨은 부인할 수 없겠다.






자유로부터의도피讀後感
설명
순서
Download :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hwp( 17 )
레포트/감상서평
다.자유로부터의도피독후감 ,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에리히 프롬은 한평생 근대인에게 있어서 자유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물었으며 소외를 넘어선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위해 보이지 않는 우리 마음 속의 적과 싸운 사람이었다. 이를 통해 <건전한 사회>, 즉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 우리들의 임무요 삶의 보람이라는 것이 프롬의 생각이다. 나아가 프롬은 사회심리학적 시각으로 현대인들의 소외의 양상을 유형별로 고찰하고 근대적 세계 속에서 인간이 참다운 자기를 실현하여 가는 길을 찾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사회심리학이라는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근대 사회의 숨어있던 성격이 확연히 드러났다.
,감상서평,레포트
자유로부터의 도피를 읽고쓰기
그는 마르크스로부터 사회 구조의 변혁에 대한 감각을, 프로이트로부터 인간의 심연을 分析(분석)하고 해방하려는 의도를 배웠다. <소유냐 존재냐>, <사랑의 기술>은 그러한 노력의 산물이다. 이러한 分析(분석)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야말로 인간을 소외로 몰고 가는 근본적인 틀임이 거듭 밝혀지고, 이를 넘어서고자 할 때 인간 개인의 내면적 해방과 사회구조의 변혁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고 프롬은 주장한다. 이 책은 감당할 수 없는 자유로부터 도피하고자 한 근대인의 심리적 기반이 나치즘이라는 우상을 수용했음을 밝힌 것이다. 그리하여 나온 책 <자기로부터의 도피>는 에리히 프롬의 이름을 전세계에 알림과 동시에 사회를 바라보는 새로운 방법론이 확립되었음을 선언하는 신호탄이 되었다.
(2) 내용 이해
저자 프롬은 이 책에서 근대인을 속박으로부터 구제했던 `자유`가 독립과 합리성을 가져다 주는 한편 고립과 무기력도 동시에 초래하였음을 인지하고, 결국 자유가 주는 부정적 측면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경우에는, 그 곳이 비록 민주…(skip)
에리히 프롬은 한평생 근대인에게 있어서 자유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물었으며 소외를 넘어선 인본주의적 공동체를 위해 보이지 않는 우리 마음 속의 적과 싸운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