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판소리장단 > kado6 | kado.or.kr report

판소리장단 > kado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6

판소리장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0:21

본문




Download : 판소리 장단 연구 (국악학과).hwp










Download : 판소리 장단 연구 (국악학과).hwp( 72 )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1.gif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2.gif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3.gif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4.gif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5.gif 판소리%20장단%20연구%20(국악학과)_hwp_06.gif
순서



판소리,창극,장단,고법,산조,예체능,레포트





설명


1. 진양조, , 2. 중모리, , 3. 중중모리, , 4. 자진모리, , 5. 휘모리, , 6. 엇모리, , 7. 엇중모리, , 9. 그 외 기타 장단, FileSize : 321K , 판소리장단예체능레포트 , 판소리 창극 장단 고법 산조

다. 진양이 판소리 밖에서 쓰이는 용례에는 산조와 육자백이가 있다 산조는 판소리 가락을 기악화한 것이라고 생각되므로 주목되는 것은 육자백이다. ‘자진 진양’은 ‘세마치’라고도 한다. 육자백이가 전라도 대표적인 민요로 꼽히며, 전라도와 그 인접지역에서 예부터 널리 불리워지던 것이므로 진양은 육자백이에서 나왔다고 짐작된다 진양의 종류는 ‘느린 진양’ ‘진양’ ‘자진 진양’으로 분류되는데 진양을 중심으로 늦거나 빠르거나, 속도에 따라서 구별될 뿐 박수는 똑같다.판소리장단

1. 진양조, , 2. 중모리, , 3. 중중모리, , 4. 자진모리, , 5. 휘모리, , 6. 엇모리, , 7. 엇중모리, , 9. 그 외 기타 장단, 파일크기 : 321K
레포트/예체능

진양은 판소리 및 산조장단 가운데 가장 느린 장단이다. 『조선창극사』에는 진양이 김성옥이 처음 발견한 것이라 하는데, 이 말이 맞는지, 혹은 딴 악곡에 쓰이던 것을 김성옥이 판소리에 처음 적용한 것인지 알 길이 없다.
전체 12,01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