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간도협약 > kado4 | kado.or.kr report

간도협약 > kado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4

간도협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21:09

본문




Download : 간도협약.hwp




조선은 이에 시일을 끌었으나 정해회담시 이중하가 홍토수국경론을 자의로 주장한 것에 대하여 조선정부의 의사표시가 있어야 된다고 판단하여1888년 5월 16일에 이…(skip)
간도협약
간도협약에 대한 글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간도협약에 대한 글입니다.
그도 그럴것이, 청국의 주장대로 두만강 밑에서부터 조사해 나가면 두만강이 국경으로 낙찰 될 수 밖에 없었고, 조선대표의 주장대로 하면 ‘토문강’이 국경이 되기 마련이기 때문일것이다 양측은 ‘도문’과 ‘두문’이 같은 강임은 동의하였으나 조선이‘토문’과 ‘도문’은 별개인 것을 내새워 한치도 양보하지 않았다.
청국의 군대로 위협을 가하면서 까지 이중하를 협박하였으나 물러서지 않았다.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간도협약.hwp( 97 )


Ⅰ. 서................................................................................1

Ⅱ. 간도의 의의...................................................................1
1. 간도의 definition ..........................................................................................1
2. 간도의 역사(歷史)적 의의...............................................................................1

Ⅲ. 간도의 위치와 분류.........................................................1
1. 위치.....................................................................................................1
2. 분류.....................................................................................................2

Ⅳ. 간도의 범위....................................................................2
1. 고지도상의 간도의 범위...........................................................................2
2. 현재 간도의 범위....................................................................................2

Ⅴ. 고구려시대의 간도............................................................3
1. 고구려가 우리역사(歷史)인 이유........................................................................3
2. 고구려의 영토와 간도..............................................................................6

Ⅵ. 발해시대의 간도...............................................................6
1. 발해가 우리역사(歷史)인 이유............................................................................6
2. 발해의 영토와 간도..................................................................................8

Ⅶ. 고려시대의 간도...................................................8

Ⅷ 백두산정계비의 설치과정........................................9
1. 백두산정계비 설치이전의 조·청 국경상황.....................................................9
2. 백두산정계비의 설치 경위.........................................................................11
3. 백두산정계비 설치에 따른 후속조치(국경표시로서의 석퇴·토퇴)......................13

Ⅸ. 조 · 청간의 국경문제........................................................14
1. 간도문제의 발단......................................................................................14
2. 을유감계회담...........................................................................................15
3. 정해감계회담...........................................................................................15
4.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16

Ⅹ. 간도협약의 체결과정......................................................16
1. 제1기 교섭과정....................................................................................17
2. 제2기 교섭과정....................................................................................17
3. 제3기 교섭과정....................................................................................18

Ⅺ. 간도협약의 내용과 고찰..................................................19

Ⅻ. 결.................................................................................21

◈ 참고資料............................................................................22




정해회담은 1887년 4월 4일부터 5월 19일까지 윤4월을 포함한 약 2개월간 강원과 백두산까지 답사하면서 회령회담 · 장파회담 · 제2차 회령회담 등 3순서에 걸쳐 이루어 졌다.

4. 국경회담 이후 조·청의 움직임

감계회담이 결론 없이 끝나자 청국의 이홍장은 1888년 1월 12일에 경계를 확정짓자고 하고 대표로 방랑을 임명하였다 통고하였다. 하지만 을유회담때 주장하던 각국 대표의 opinion은 굽혀지지 않았다.간도협약 , 간도협약인문사회레포트 ,



간도협약
간도협약_hwp_01.gif 간도협약_hwp_02.gif 간도협약_hwp_03.gif 간도협약_hwp_04.gif 간도협약_hwp_05.gif 간도협약_hwp_06.gif

다. 이중하가 정부의 지령 없이 단독으로 홍토수 설로 회담에 임하는 실수를 범하였지만 청국이 홍단수설을 주장하면서 정해감계회담은 결론 없이 끝나고 말았다.
전체 12,08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