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캐쉬메모리 > kado4 | kado.or.kr report

캐쉬메모리 > kado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4

캐쉬메모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10:38

본문




Download : 캐쉬메모리.hwp





②캐쉬메모리 콘트롤러 : 캐쉬메모리 내에 데이터가 있는지 결정하는 역할과 캐쉬미스가
발생했을 때 캐쉬메모리의 업데이트를 명령하는 것.
⑵ 캐쉬메모리 동작 방법
< 그림 1 캐쉬메모리 동작방법 > 캐쉬 기억 체제의 동작 원리는 그림 1과 같다.
캐쉬메모리에관해서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Download : 캐쉬메모리.hwp( 41 )




캐쉬메모리



1. 캐쉬메모리 탄생
........................................ 2
2. 캐쉬메모리 구조 및 동작 방법
........................................ 2
3. 캐쉬메모리의 크기, 블록 사이즈 및 성능
........................................ 3
4. 캐쉬메모리 설계방법
........................................ 6
5. 캐쉬메모리 리플레이스 알고리즘
........................................ 7
6. 쓰기 정책
........................................ 8
7. 앞으로의 동향
........................................ 9
8. 참고 資料
........................................ 10


1. 캐쉬메모리 탄생
1977년 CPU의 클럭 주파수는 3MHz로 333nS의 속도로 DRAM의 200nS를 따라가지 못했다. CPU에 최초로 채용된 것은 IBM 시스템 360/85이며, 그 후 IBM의 다른 컴퓨터나 타사의 대형 컴퓨터에 쓰이게 되었다.
그러나 캐쉬에서 미스가 일어나면 캐쉬에 직접 접근할 수 없고, 주기억장…(To be continued )









캐쉬메모리_hwp_01.gif 캐쉬메모리_hwp_02.gif 캐쉬메모리_hwp_03.gif 캐쉬메모리_hwp_04.gif 캐쉬메모리_hwp_05.gif 캐쉬메모리_hwp_06.gif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캐쉬메모리에 대한 자료입니다.
*캐쉬메모리의 지역성
①Spatial : 공간적 지역성. 한번 참조 된 곳에서 계속 참조될 가능성이 높은 것.
②Temporal : 시간적 지역성. 한번 참조되면 다음에 또 참조될 가능성이 높은 것.
*일반적으로 Spatial Locality보다 Temporal Locality가 더 높다. (같은 변수를 더 자주 호출하기 때문)


2. 캐쉬메모리 구조 및 동작 방법
⑴ 캐쉬메모리 구조
①캐쉬메모리 : 주로 SRAM으로 구성된다된다. 캐쉬메모리에관해서 , 캐쉬메모리공학기술레포트 ,
다.캐쉬메모리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그러나 1987년 CPU는 33nS로 DRAM의 100nS의 속도를 추월하기 처음 하여 1997년 CPU는3.3nS, DRAM은 50nS로 그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그래서 보다 빠른 Access Time을 갖는 SRAM이 요구되었다. 일반적으로 버퍼 기억이라고 불리고 있다
캐쉬메모리는 시각적·공간적 지역성 원리에 의해 설계 구현되었다. 그림에서 흑색 화살표는 캐쉬에 히트 되었을 때의 흐름을 나타내고, 회색 화살표는 캐쉬에 미스 되었을 때의 흐름을 나타낸다.
캐쉬에 히트되었을 때에는 캐쉬에 직접 접근이 가능하므로 읽기를 위한 접근이라면 캐쉬에서 정보를 읽어서 중앙처리장치에 공급하면 되고, 주기억장치에 쓰기를 위한 접근이라면 캐쉬에 기억시키면 된다된다.
전체 12,08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