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트 또는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I: 원형몸체와 곧은 목의 고대 아시아 발현(撥絃)악기 - 가려 뽑은 문헌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12:38본문
090829 완함의기원(수과논문집 0831제출본) , 류트 또는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I: 원형몸체와 곧은 목의 고대 아시아 발현(撥絃)악기 - 가려 뽑은 문헌과 고고도상학(考古圖像學) 유물자료에 의한 음악학 연구 IV -인문사회레포트 ,
류트 또는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I: 원형몸체와 곧은 목의 고대 아시아 발현(撥絃)악기 - 가려 뽑은 문헌과 고고도상학(考古圖像學) 유물reference(자료)에 의한 음악학 연구 IV -
090829 완함의기원(수과논문집 0831제출본)
중국(China),한국,일본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history(역사) 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네번째로, 3-5현을 지닌 원형 몸통에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뒤로 굽지 않고 직선으로 곧게 뻗은(直頸)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고대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 논문이다.
레포트/인문사회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1.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2.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3.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4.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5.gif)
%ED%98%95%20%EC%95%85%EA%B8%B0%EC%9D%98%20%EA%B8%B0%EC%9B%90%EA%B3%BC%20%EB%B0%9C%EB%8B%AC%EC%82%AC%20III%20%EC%9B%90%ED%98%95%EB%AA%B8%EC%B2%B4%EC%99%80%20%EA%B3%A7%EC%9D%80%20%EB%AA%A9%EC%9D%98%20%EA%B3%A0%EB%8C%80%20%EC%95%84%EC%8B%9C%EC%95%84%20%EB%B0%9C%ED%98%84(%E6%92%A5%E7%B5%83)%EC%95%85%EA%B8%B0%20-%20%EA%B0%80%EB%A0%A4%20%EB%BD%91%EC%9D%80%20%EB%AC%B8%ED%97%8C%EA%B3%BC%20%EA%B3%A0%EA%B3%A0%EB%8F%84%EC%83%81%ED%95%99(%E8%80%83%E5%8F%A4%E5%9C%96%E5%83%8F%E5%AD%B8)%20%EC%9C%A0%EB%AC%BC%EC%9E%90%EB%A3%8C%EC%97%90%20%EC%9D%98%ED%95%9C%20%EC%9D%8C%EC%95%85%ED%95%99%20%EC%97%B0%EA%B5%AC%20IV%20-_hwp_06.gif)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들어가는 글
1. 원형몸체와 곧은 목의 류트 또는 비파형 발현(撥絃)악기의 기원
1.1. 고고도상학(考古圖像學) data(자료)
1.1.1. 중앙아시아와 중국(中國)
1.1.2. 한국과 Japan
1.2. 문헌(文獻) data(자료)
1.2.1. 중국(中國)측 문헌data(자료)
1.2.2. 한국측 문헌data(자료)
나오는 글
서지사항
필자는 2003년 <고대 중국(中國)의 궁정음악(宮廷音樂)은 얼마나 <중국(中國)적>이었나?>라는 (다소 엉뚱하고도 도발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하며, 동일한 테마-카테고리에 속하는 일련의 논문들에서 고대 중국(中國)의 궁정음악이 어느 정도까지, 얼마나, 그리고 어떻게 주변국 <야만스런 오랑캐 종족> 음악의 influence 아래에 놓여있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서술하며, 악기의 역사(歷史)와 기원, 즉 악기학(樂器學)에서, 연주실제(演奏實際 performing practice), 그리고 - 음악사회학 범주에 가까워지는 - 음악인 지위의 변천사까지 깊이 들어가는 각론(各論)을 (필자에게 비교적 수월하게 여겨지는 분야인) 악기학적 접근과 방법론으로 펼쳐 보려는 구상을 하였다. 이 구상의 연속작업으로 또 동아시아 음악culture권의 비파형 악기연구를 완결하는 의미에서 <목이 곧고 둥근 몸체의 류트(lute)형 악기>를 선택한 첫 번째 이유는, 이 형태의 류트형 발현(撥絃)악기가 이슬람교와 무어인의 세력 확장으로 북아프리카와 이베리아 반도를 거쳐 전해진, 유럽 르네쌍스-바로크시대 류트의 기원으로 보는 아랍…(생략(省略))
다.
Download : 류트 또는 비파(琵琶)형 악기의 기원과 발달사 III 원형몸체와 곧은 목의 고대 아시아 발현(撥絃)악기 - 가려 뽑은 문헌과 고고도상학(考古圖像學) 유물자료에 의한 음악학 연구 IV -.hwp( 26 )
설명
중국,한국,일본에 고대로부터 비파(琵琶)라는 명칭으로 전해오는 악기들의 역사를 연구하는, 악기학-음악화상학-음악고고학-음악박물관학의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음악학 논문의 네번째로, 3-5현을 지닌 원형 몸통에 줄감개를 포함한 목이 뒤로 굽지 않고 직선으로 곧게 뻗은(直頸) 형태의 비파의 기원과 발달사를 가려 뽑은 동아시아 고대 문헌과 음악고고학 유물로 추적한 논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