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집의 편찬시대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16:18본문
Download : 시조집의 편찬시대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hwp
이 두 시조집은 천기론적 관점에서 작품을 수용하였는데, 『청구영언…(To be continued )
,인문사회,레포트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를 분석한 자료입니다.
◎ 서 론
◎ 본 론
○ 문학향유계층의 확대 - 여항인과 여항문학
○ 성리학적 교조주의를 위한 모방을 벗어나 인간본연의 성정을 담는 창조로의 전환 - 천기론
○ 『청구영언』과 『해동가요』의 편찬의도와 수록관점
○신분의 한계에서 느끼는 설움과 자신의 삶에 자족하는 태도- 김천택과 김수장의 시조 감상
◎ 결 론
시조는 시여라는 이칭처럼 사대부에 있어서 여가를 선용하기 위한 수단의 노래였다.
다. 두 시조집 편찬의 의의는 구전되던 시조를 선별하여 수록 후대에 전승하였고 구전에서 오는 작품변형을 막았다는데 있다 이 두 시조집의 편찬연대는 30여년 정도의 차이를 두는데 『청구영언』이 평시조만을 엄선해서 수록한 반면, 『해동가요』에서는 파격인 엇시조와 사설시조도 수록하고 있다 이는 김수장이 김천택보다 시조를 수용하는 관점이 폭넓었다는 것과 시조 역시 작가층이 확산되면서 파격의 시조들이 많이 창작되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후기가 되자 전문적으로 시조를 짓고 노래하는 가객이 발생하게 되었고, 김천택에 의해 『청구영언』이 김수장에 의해 『해동가요』가 편찬되기에 이른다. 그러므로 조선전기 사회에서 시조를 전문적으로 창작하는 작가는 드물고, 전승방식도 기록에 의한 것보다 구전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었다.김천택김수장 , 시조집의 편찬시대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시조집의 편찬시대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hwp( 97 )
시조집의 편찬시대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
김천택김수장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김천택의 청구영언과 김수장의 해동가요를 分析한 data(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