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 가 / 중세국어 > kado3 | kado.or.kr report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 가 / 중세국어 > kado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3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 가 / 중세국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8:44

본문




Download :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hwp




즉 [ㅸ]는 [β]로 독립된 음가를 지닌 음소이며 ‘ㅿ’도 울림소리로서 [ㅅ]이 변동된 [z]의 표기로 볼 수 있으며 독립된 음소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ㅿ’은 중국의 전통적 성류(聲類) 체계에 따른 일모(日母)의 규범성과 당시 중국방언의 발음 경향이었던 ‘ㅅ s `음의 ...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 가 / 중세국어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 가 / 중세국어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 -요약- ‘ㅸ’...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1167_01.gif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1167_02_.gif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1167_03_.gif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 -요약- ‘ㅸ’...

Download : [인문]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hwp( 59 )



다.설명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중세국어에서 ‘ㅸ’과 ‘ㅿ’은 음소로서 인정할 수 있는가 -요약- ‘ㅸ’이 ‘ㅿ’과 더불어 15세기 중기국어의 음소체계에 포함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는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 간에 논쟁만을 거듭한 채, 아직 미해결로 남아 있는 터이다. ‘ㅸ’이 ‘ㅿ’과 더불어 15세기 중기국어의 음소체계에 포함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문제는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 간에 논쟁만을 거듭한 채, 아직 미해결로 남아 있는 터이다. ‘ㅿ’과 ‘ㅸ’을 15세기 중기국어의 음소단위로 보고자 하는 분은 이숭녕, 이기문, 허웅, 김형규, 강신항 등이요,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고 있는 분은 박병채, 남광우, 서정범 등이며, 유창돈은 ‘ㅸ’은 음소단위로 보지 않으나, ‘ㅿ’은 음소단위로 보는 절충적 입장을 취하였다. ‘ㅸ’과 ‘ㅿ’을 음소로 인정하는 입장에서는 우리말에 쓰인 [ㅸ]는 ㅂ 와 같은 두입술소리로서, 공깃길 1도의 갈이소리이며, 울림소리에 속한다. 하지만 ‘ㅿ’은 중국의 전통적 성류(聲類) 체계에 따른 일모(日母)의 규범성과 당시 중국방언의 발음 경향이었던 ‘ㅅ s `음의 모음 사이의 약화 탈락 현상에 의한 음운의 간접적 기능에 대한 배려에서 한때 서사언어에 이용되었을 뿐, 독립 음운으로서의 자질은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 ‘ㅸ’과 ‘ㅿ’을 음소로서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살펴보면, 반치음 ‘ㅿ’음은 순경음 중 ‘ㅸ’과 더불어 15세기의 국어의 서사언어(書寫言語)로 사용된 것은 사실이다. 먼저 ‘ㅸ’과 ‘ㅿ’을 음소로서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살펴보면, 반치음 ‘ㅿ’음은 순경음 중 ‘ㅸ’과 더불어 15세기의 국어의 서사언어(書寫言語)로 사용된 것은 사실이다.
전체 12,11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