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 정 발표 서론[2] / Ⅰ. 서 론 1.과 거 교육 평가의 problem(문제점)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0:42
본문
Download : 교육과정 발표 서론[2] .hwp
2. 수행 평가의 특성 수행이란 구체적인 상황에서 실제로 어떤 행동을 나타내 보이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의미한다. 평가의 주요 관심사는 학습자의 행동변화에 관한 증거를 수집하는데 있으므로, 좋은 평가방법이 되려면 행동변화에 관한 타당한 중거를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에 설정된 교육goal(목표) 를 效果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활동을 돕기 위하여 학생과 수업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 평가의 일차적인 goal(목표) 인 것이다. 학교교육에서 교육 평가의 일차적 준거는 교육 goal(목표) 이며, 평가를 통해서 우선적으로 밝혀야 할 점은 교육goal(목표) 달성 여부이다. . 어쩌면 그러한 것들은 부차적인 것이다.
![교육과정 발표 서론[2] -6055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3/%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9C%ED%91%9C%20%EC%84%9C%EB%A1%A0%5B2%5D%20-6055_01.gif)
![교육과정 발표 서론[2] -6055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3/%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9C%ED%91%9C%20%EC%84%9C%EB%A1%A0%5B2%5D%20-6055_02_.gif)
![교육과정 발표 서론[2] -6055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3/%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9C%ED%91%9C%20%EC%84%9C%EB%A1%A0%5B2%5D%20-6055_03_.gif)
![교육과정 발표 서론[2] -6055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3/%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9C%ED%91%9C%20%EC%84%9C%EB%A1%A0%5B2%5D%20-6055_04_.gif)
![교육과정 발표 서론[2] -6055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803/%EA%B5%90%EC%9C%A1%EA%B3%BC%EC%A0%95%20%EB%B0%9C%ED%91%9C%20%EC%84%9C%EB%A1%A0%5B2%5D%20-6055_05_.gif)
Ⅰ. 서 론 1. 과거 교육 평가의 problem(문제점) 교육평가의 주목적은 학생들에게...
Ⅰ. 서 론 1. 과거 교육 평가의 問題點 교육평가의 주목적은 학생들에게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하고, 순위를 매기고, 분류하는데 있는 것이 아닐것이다. 물론 적절하게 만들어진 지필검사는 확실히 넓은 범위의 행동에 관한 증거를 얻는데 유용한 방법이긴 하지만, 어떤 종류의 행동 특성에 관한 증거는 지필검사나 객관식고사로서는 타당하게 드러나지 않는 수가 있다아 이런 경우에는 실험이나 실기, 면접, 觀察(관찰) 등 다른 대안적 방법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기능을 나타내 보일 수 있도록 어떤 산출물을 작성하거나 행동으로 표현하도록 요구하고, 이렇게 하여 ...
Ⅰ. 서 론 1. 과거 교육 평가의 문제점 교육평가의 주목적은 학생들에게...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교육과 정 발표 서론[2] / Ⅰ. 서 론 1.과 거 교육 평가의 problem(문제점) 교육
설명
Download : 교육과정 발표 서론[2] .hwp( 45 )
순서
교육과 정 발표 서론2 / Ⅰ. 서 론 1.과 거 교육 평가의 문제점 교육
다. 따라서 교육평가의 주된 기능은 학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절대적 준거인 교수-학습goal(목표) 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출발점 행동을 진단하고, 수업활동을 통하여 학생 개개인의 학습 성과를 확인하며,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진로와 자아실현을 돕는데 있다아 그러나 그 동안 우리 교육 평가의 현실에 있어서 이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어온 것이 사실이며, 교육평가의 본 모습과는 다르게 운영되어 왔다. 우리는 그 동안 평가라하면 의례 지필검사를 통한 객관식고사를 머리에 떠올리고 이를 주로 사용하여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