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6:33
본문
Download :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hwp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에 대한 자료입니다. up광양만중마부두건설로인한지형변동모델링 ,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공학기술레포트 ,
1. 서 론
광양만은 한반도의 남부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내만으로서 여수수로를 통해 남해와 연결되어 있다 광양만의 해수교환은 남쪽으로는 여수해만을 통해 이루어지고, 만의 동측에는 노량수로를 통해 진주만으로의 해수교환이 일어나고 있으며, 만의 북측에는 섬진강을 끼고 있다 건설부1) 자료(資料)에 의하면, 섬진강의 mean(평균) 유량은 약 120 m3/sec이며, 섬진강의 하구에는 넓은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근래에 와서는 모래 채취로 인해 광양만의 개발 전에 비해 수심이 깊다.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hwp( 19 )
순서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
up광양만중마부두건설로인한지형변동모델링
광양만 중마 부두건설로 인한 지형변동 모델링에 대한 data(자료)입니다.
광양만은 1982년 광양제철소의 건설을 시점으로 하여 광양항의 확장 개발, 폐기물처리장, 컨테이너부두 건설 등으로 인한 매립이 계속 진행 중에 있다 광양만의 개발 후인 현재의 지형은 그림 1과 같다. 특히, 섬진강 하구는 광양만 개발 전에는 넓은 조간대 퇴적층의 발달로 다양한 생태계environment(환경) 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광양항 건설 및 하구에서 모래 준설 등으로 인해 최근에는 해수의 역류가 심각하여 이 지역의 특산물인 재첩이 소멸해 가고 있다 또한 해수의 역류로 인근지역의 지하수가 해수화로 變化(변화)는 등 생태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양만의…(투비컨티뉴드 )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