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Edge]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실태(實態)에 관해 > kado2 | kado.or.kr report

[Edge]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실태(實態)에 관해 > kado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2

[Edge]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실태(實態)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04:29

본문




Download : 혈청학적 검사로.hwp




또한 Markowitz등3)은 비타민 A치가 낮은 경우 사망율이 증가한다고 하였다. 합병증으로 기관지 폐렴,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쿠룹, 급성 중이염 등과 뇌염이나 아급성 경화성 뇌막염 등의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1954년 Enders등1)이 홍역 바이러스를 조직 배양하여 분리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그후 불활성화 사백신이 개발되었으나 접종 후 비정형 홍역(atypical measles)의 발생으로 1963년에 개발된 약독화 생백신을 접종하고 있다아

순서


Download : 혈청학적 검사로.hwp( 31 )




결 과


홍역 환자 홍역 홍역 예방접종 홍역백신 /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설명

3. 홍역의 주요 임상증상과 비타민 A치와의 관계



레포트 > 기타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및 예방접종 실태(實態)에 관해
다.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은 급성 바이러스성 발진성 질환으로 발열, 콧물, 결막염과 홍반성 구진을 특징으로 한다.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서 론
4. 입원 기간에 따른 말초혈액 및 생화학검사 소견의 비교

홍역 환자 홍역 홍역 예방접종 홍역백신 / (홍역환아의 비타민 A치)
홍역 환자 홍역 홍역 예방접종 홍역백신
우리나라에서는 1965년부터 홍역백신을 접종하여 홍역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최근 1989-1990년과 1993-1994년에 유행이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1. 연령별 분포


2. 홍역환자에서 비타민 A치

이에 저자들은 본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혈청학적 검사로 진단된 홍역환아들을 대상으로 비타민 A치를 측정하여 비타민 A치에 따른 임상 증상의 차이를 알아보고, 말초혈액과 생화학 검사 소견, 합병증 및 홍역 백신 접종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5. 합병증

7. 연령별 백신접종력
대상 및 방법
6. 예방접종력

Thomas등2)은 홍역에 이환되면 비타민 A치가 감소하며, 비타민 A를 투여하면 홍역을 완화시킬 수 있어 중한 경과를 밟고 있는 모든 홍역 환아들에게 투여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전체 12,07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