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3:42본문
Download :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_1142974.hwp
또한 대만은 자본금규모를…(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_1142974.hwp( 14 )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한국기업조직의특징 ,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경영경제레포트 ,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한국기업조직의특징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레포트/경영경제
다.설명






한국 기업조직의 특질
1. 한국의 사기업
- 대·중·소기업의 법률적 양적 및 질적 定義(정의)
2. 중소기업의 역할과 업종
- 중소기업의 역할
3. 한국이 대기업형 경제 또는 기업 집단형 경제가 된 경제적 이유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문제는 국가마다 산업발전단계, 역사(歷史)적 및 문화적 요인, 독과점 형성단계, 경제의 규모, 국민의 기업관이나 기업 활동참여도 등의 차이가 있으므로 그 상대적 중요성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많은 한국인들은 중소기업하면 우선 이 중 마지막 형태의 것으로만 생각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중소기업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아 첫째는 중소기업이 업종이나 지역성 및 수요의 규모 등으로 볼 때 적정규모가 되는 경우이다. 셋째는 어디엔가 문제가 있는 중소기업의 경우이다. 하바드 대학의 케이브스(Richard Caves)교수는 세계에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를 가장 많이 따지는 나라는 日本 과 한국이라고 한 바 있는데, 아마 한국이 세계에서 이 문제를 가장 많이 따지는 나라가 아닌가 한다.
한국에서 대·중·소기업은 정부정책의 대상이 되므로 명확한 `법률적 定義(정의)`가 필요하다. 이를 규정하는 법은 중소기업기본법인데, 밑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중·대기업을 상시종업원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定義(정의)하고 있다아
소기업: 광공업, 운송업 및 건설업의 경우에는 20인 이하, 그리고 상업 및 서비스업의 경 우에는 5인 이하의 기업
중기업: 광공업, 운송업의 경우에는 21~300인, 건설업의 경우에는 21~200인, 그리고 상 업 및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6~20인의 기업
대기업: 광공업, 운송업의 경우에는 300인 이상, 건설업의 경우에는 200인 이상, 그리고 상업 및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20인 이상의 기업
이와 같이 한국의 법률적 定義(정의)는 산업에 따라 규모의 차이를 인정하는 `양적 定義(정의)`라는데 특징이 있다아 그런데 이 양적 定義(정의)에 있어서 한국은 종업원규모만을 중시하나, 日本 은 종업원규모와 더불어 자본금규모도 중시한다. 둘째는 비록 현재는 중소형기업이나, 아직 유치산업(infant industry)단계에 있으므로 잘만 키우면 국제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대기업이 될 수 있는 경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