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C] 황우석과 생명복제기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7 15:30본문
Download : 황우석과 생명복제기술.hwp
과학자레포트 , 황우석과 생명복제기술공학기술레포트 ,
과학자report
Download : 황우석과 생명복제기술.hwp( 67 )






다. 성체줄기세포는 분화된 조직 안에 분화하지 않은 세포로 복제를 계속하면서 분화된 特性의 조직을 만들어 내고 있어 배아줄기세포와 구분한다.
과학자 황우석과 그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생명복제기술의 未來를 제고한 리포트입니다.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 ES세포)는 수정 후 4~5일이 된 아직 어머니 뱃속에 정착되지 않은 배(blastocyst, 배반포) 내에 있는 세포덩어리에서 유래(由來)한 세포를 말한다. 지금까지는 백혈병, 재생 불량성 빈혈 등 혈액암 관련 질환에 사용되고 있고, 앞으로는 유방암 및 각종 대사성 질환 등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展望한다. 이 세포는 체외에서 배양이 가능하며 특정한 조건에서 분화를 일으킨다. 실제 배 그 자체는 아니지만 세포가 복제하여 세 개의 배엽(외배엽:신경,피부/ 중배엽:근육,뼈,생식세포/ 내배엽:소화관,내부장기)으로 이어져 결국에는 인체의 여러 가지 세포로 분화할 가능성을 갖고 있다 이렇게 분화 발달할 수 있는 세포를 pluripotent(다분…(To be continued )
황우석과 생명복제기술
순서
,공학기술,레포트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과학자 황우석과 그의 연구성과를 토대로 생명복제기술의 미래를 제고한 리포트입니다.
1. 황우석!! 그는 누구인가?
2. 연구 성과
1) ‘광우병 내성 소’, ‘무균 미니 돼지’ 세계 최초 생산
2) 한국 첫 복제 소 ‘영롱이’
3) 사람 난자서 ‘인간 배아 줄기세포’ 배양
3. 생명복제기술의 미래 & 초등교육에 있어 시사하는 점
4. reference
3) 사람 난자서 ‘인간 배아 줄기세포’ 배양
☞용어를 알아보자!
줄기세포(adult stem cell)는 배, 태아 혹은 성체가 가지고 있는 세포로서 오랫동안 복제될 수 있으며 어떠한 조건에서는 특정한 기능을 갖는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줄기세포는 분화가 끝나지 않은 세포로 체내 여러 곳에 분포하여 계속 분열·증식할 수 있는 상태로 특정한 조건에서 조직이나 기관으로 성장하는 세포이다. 예전에는 모든 조혈모세포를 뼛속에서 얻었기 때문에, ‘조혈모세포이식’을 ‘골수이식’이라 불렀지만 지금은 탯줄, 태반, 말초혈관 등에서도 뽑을 수 있다고 한다.
ex) 제대혈 속의 조혈모세포
제대혈은 갓 태어난 신생아의 탯줄과 태반에 있는 혈액을 말하는데, 혈액과 면역체계의 근간인 조혈모세포(Stem cell)와 연골, 뼈, 근육, 신경 등을 만드는 간엽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조혈모세포는 모든 혈액세포, 골수세포, 림프계의 세포들의 조상이 되는 세포로서, 자기복제를 할 수 있고 어떠한 혈액세포로도 나뉘어 질 수 있는 세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