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I의 평가와 제도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2 01:18
본문
Download : ODI의 평가와 제도화.hwp
순서
평가란 ODI 실행가와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개입의 진척상황과 그 영향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평가 피드백에서는 실행피드백에서 사용된 직무만족과 성과에 관한 모든 data(자료)가 활용되며, 그러한 피드백의 결과들을 조직내 지속화시키거나 영구적으로 조직 업무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라고 가리킬 것이다. 결과의 측정(測定) 은 개입이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아무런 지식 없이는 모호해질 수 밖에 없다. 제도화란 개입 결과 발생한 특정한 變化(변화)를 조직의 표준업무로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성공적인 變化(변화)프로그램 결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분명히 한다. 실행 피드백은 실행 과정을 이끄는 동시에 결과 data(자료)의 해석에 도움을 주면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한다. 실행 피드백과 달리, 평가 피드백은 개입의 전반전인 효능는 물론이고 개입실행에 자원을 계속 투입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개입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하여 다루게 된다된다.
다.
3. 측정(測定) (Measurement)
1) 변수의 선택 (Selecting Variables)
일반적으로 개입이 실행된 후에는, 업무성과와 결근 및 만족도와 같은 결과들에 미친 개입의 influence(영향)에만 집중한다고 생각된다된다. 제도화란 개입 결과 발생한 특정한 변화를 조직의 표준업무로 정착시키는 것으로서, 성공적인 변화프로그램 결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분명히 한다. 평가 피드백은 실행피드백보다 data(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보통 작업성, 직무만족, 결근, 이직률등과 같은 결과의 측정(測定) 들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 변수들의 improvement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구성원들은 초기 진단에 심각한 결함이 있었거나 개입의 선택이 적절치 못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좀 더 자세한 진단을 하고 다른 개입方案을 탐색하도록 노력하게 될 것이다. , ODI의 평가와 제도화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기타,레포트




설명
1. 들어가며
2. ODI의 실행과 평가 피드백
3. 측정(測定) (Measurement)
1) 변수의 선택 (Selecting Variables)
2) 올바른 측정(測定) 설계 (Designing Good Measures)
4. 조사 설계(Research Design)
1) 장기적인 측정(測定) (Longitudinal measurement)
2) 비교 단위 (Comparison unit)
3) 통계적 分析 (Statistical analysis)
5. 조직의 특성(特性)(Organization Characteristics)
6. 개입의 특성(特性)(Intervention Characteristics)
7. 제도화 과정(Institutionalization Process)
8. 제도화의 지표(Indicators of Institutionalization)
실행 피드백을 통해 개입의 다양한 특성(特性)들에 관한 data(자료)와 개입 후 발생하는 결과에 관한 data(자료)를 제시됨으로써 그 과정을 알 수 있다 일단 피드백을 통해 개입이 적절히 실행되고 있음을 알았다면, 평가 피드백이 스타트된다된다. 반면에 긍정적인 결과는 개입이 의도한 결과를 가져왔음을 보여주며, 이를 조직내 표준 업무로 정착시키도록 하는 제도화 方案을 찾아내도록 조장할 것이다. 이들 변수는 개입의 실행뿐만 아니라 평가를 위한 측정(測定) 변수의 선택에 도움을 주어야 한다. 이 책뿐 아니라 다른 data(자료)에서도 직무 만족과 내부적 동기부여, 조직 몰입, 결근률, 이직률, 생산성과 같은 수많은 결과 측정(測定) 들을 밝히고 있다 측정(測定) …(생략(省略))
Download : ODI의 평가와 제도화.hwp( 43 )
ODI의 평가와 제도화
평가란 ODI 실행가와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개입의 진척상황과 그 影響에 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