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교재 제1강~10강 객관식 20문항 출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6:44본문
Download : 20202기말_국문3_중세국어의이해.zip
제2강 발음과 표기법
- 목 차 -
제6강 경어법





중세국어의이해,방통대중세국어의이해,방송대중세국어의이해,중세국어의이해과제물,중세국어의이해과제,중세국어의이해기말시험
교재와 방송강의 제1강~10강에서 객관식(4지선다형) 20문항을 출제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해설을 붙이시오. - 목 차 - 제1강 훈민정음 제2강 발음과 표기법 제3강 조어법 제4강 곡용과 활용 제5강 격조사와 보조사 제6강 경어법 제7강 화자 표시법과 대상표시법 제8강 서법과 시제 제9강 연결어미와 전성어미 제10강 문장종결법
2) 초성, 중성, 종성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이 될 수 있도록 적는 방법은 무엇인가?
(1) 1가지 (2) 2가지 (3) 3가지 (4) 4가지
제9강 연결어미와 전성어미
제1강 훈민정음
제3강 조어법
3) 한자의 득음을 표기하는 법에는 몇 가지의 방법이 있는가?
제2강 발음과 표기법
1번 문제의 해설
교재와 방송강의 제1강~10강에서 객관식(4지선다형) 20문항을 출제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해설을 붙이시오.
초성과 중성 그리고 종성자를 조합하여 하나의 음절이 되도록 적는 방법은 바로 부서라고 할 수 있는데, 글자의 형을 한자처럼 정방형으로 만들기 위한 方案이다. 연서는 두 개 초성자를 위와 아래로 이어쓰는 방법을 뜻하고 있으며, 병서는 둘이나 세 개의 초성자를 옆으로 나란히 두고 쓰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그리고 훈민정음 본문에서는 “왼쪽에 한 점을 더하면, 거성, 두 점을 더하면 상성, 없으면 평성인데, 입성은 점을 더하는 것은 같으나 빠르게 끝난다” 고 기록되어 있다 이 당시 우리나라 말에는 거성과 상성, 평성 및 입성 등의 성조가 존재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제5강 격조사와 보조사
1446년 9월에 훈민정음 정인지 서문 기록에 의하면, 계해년인 1443년 겨울, 우리 전하께서는 정음 28자를 창제하셨으며, 간략하게 예의를 들어 보이셨으며, 이름을 ‘훈민정음’ 이라고 지으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1443년 12월 세종실록의 기록이 우리나라의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하여 가장 앞선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 중략 -
방송통신 > 기말시험
제4강 곡용과 활용
설명
2번 문제의 해설
제8강 서법과 시제
제10강 문장종결법
(1) 1434년 (2) 1443년 (3) 1446년 (4) 1463년
순서
제1강 훈민정음
2020년 2학기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처리해야할문제물(교재 제1강~10강 객관식 20문항 출제)
1)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된 년도는 몇 년도인가?
제7강 화자 표시법과 대상표시법
Download : 20202기말_국문3_중세국어의이해.zip( 14 )
(1) 부서 (2) 병서 (3) 방점법 (4) 성조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