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do.or.kr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 > kado1 | kado.or.kr report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 > kado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kado1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1 21:01

본문




Download :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hwp





Download :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hwp( 35 )



순서



다.8강조선중기 ,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1.gif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2.gif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3.gif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4.gif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5.gif 조선전기의%20문화와%20조선중기_hwp_06.gif
(3). 병자호란(인조, 1636) → 국호를 청으로 고치고 조선에 대해 군신관계 요구
→ 주전파 vs 주화파의 대립
→ 군신관계, 명과단교의 조건으로 화의.
(4). 호란의 effect(영향) → 북벌론의 대두(효종, 화이사상의 입장), 18세기에는 북학론 대두(화이사상의 극복)
Ⅳ. 양반체제의 개편

1. 정치체제의 변질

(1). 정치기구의 alteration(변화) → 비변사 기능의 확대 - 중종때 처음 설치(군무총괄, 임시기구)

- 임진왜란 후 문무고관의 협의기구로 모든 사무 총괄
- 의政府 기능의 상실, 왕권약화 초래
→ 5군영 설치 - 훈련도감(선조,1594) : 삼수병 양성기관( 포수, 사수, 살수 )
(중앙군) - 총융청(인조,1624) : <이괄의 난>을 계기로 설치, 서울·경기지역 방어.
- 수어청(인조,1626) : 남한산성 방어
- 어영청(효종,1652) : 북벌운동의 중심군영
- 금위영(숙종,1682) : 궁성수비
→ 속오군(지방군) : 양·천 혼성군
→ 후기 군제 개편의 의미 - 전기의 병농일치제 붕괴, 모병제로 전환
- 군역의무의 조세화 : 2필의 군포를 부담하는 납포군화.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에 대한 글입니다.


8강조선중기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


조선전기의 문화와 조선중기에 대한 글입니다.
전체 11,859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kado.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