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의 특징과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14:39본문
Download : 굿의 특징과 종류.hwp
일반 굿은 기복을 위한 재수굿, 성주굿, 구자를 위한 삼신굿, 칠성굿, 치병굿, 환자굿등이며 사령을 위한 오구굿, 지노귀, 사자굿, 씻김굿, 조상굿, 수왕굿, 망묵굿등도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에서 죽은 사령을 위한 굿도 結論(결론)적으로는 산 자의 평안과 행복을 비는 목적으로 마감되어진다.레포트/의약보건
굿의 특징과 종류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굿의특징과종류 , 굿의 특징과 종류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굿의 특징과 종류
Download : 굿의 특징과 종류.hwp( 93 )
굿의 특징과 종류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굿의특징과종류
굿의 구분
굿은 가정과 개인을 단위로하는 일반적인 굿과 마을의 생활공동체를 단위로 하는 동신제인 당굿이 있다아 일반 굿은 살아있는 사람을 위한 굿과 죽은 사령의 저승천도를 위한 굿으로 나눈다. 조례를 잡고 나서는 그 굿을 주관할 무당이나 제가집 모두 부정을 철저히 가리고 신을 맞이할 심신의 준비를 한다. 육어류의 섭취를 금하고 상가 집이나 임산부를 보지 않으며, 날짐승 길버러지도 살생하지 말아야하며, 부부간의 동침도 피해야 할 정도로 엄한 부정가림은 그 만큼 신령을 모시는 자리가 깨끗하고 맑아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아 옛날에는 삼일입소 오일단속이라하여 엄정한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주문하기도 하였다. 굿을 맡은 무당은 특히 제가의 모든 소원성취를 …(To be continued )
순서
설명
다. 굿의 규모는 문복자의 형편에 따라 대소 간에 정해지며, 날짜는 제가식구들의 생기복덕을 가려 모든 식구들에게 이로운 날로 가려내게 된다 화급을 요하는 굿에는 택일이 필요 없이 당일로 진행되기도 한다. 공동체를 위한 동제로는 강원도의 별신제, 임장군굿, 국사당 단오굿등이 있다아 이 밖에도 강신무의 성무제의인 내림굿, 신굿, 가릿굿, 허주굿등의 특수제의가 있다아
굿의 절차와 구성
한 판의 굿이 벌어지기까지는 많은 준비와 정성이 들어가게 된다
문복을 하여 굿의 necessity need이 논하여지고, 제가의 뜻과 합의되면 먼저 굿의 대소규모와 택일을 정해야 한다. 굿을 하게 된 제가에서는 택일된 날짜 이전에 굿에 소용되는 비용을 무당에게 전달하고, 무당은 조례잡는다하여 자신의 신당에다가 백미를 바치고 촛불을 밝혀 어느 날 어느 가정에서 어떠한 사연으로 굿을 올리게 되었음을 알린다. 이렇게 조례를 잡기만 하여도 굿 덕을 볼 제가집은 그 조짐이 나타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