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분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3:39
본문
Download : 민족분단.hwp
김구는 해방후의 정계에서 이승만과 함께 신탁통치 반대운동을 강력히 펴고 있었다. 요컨대, 미·소 양군이 한반도를 분할점령한 후에도 민족분단을 막고 통일된 민…(省略)






순서
민족분단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 , 민족분단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Download : 민족분단.hwp( 85 )
다. 우익의 좌파라 할 수 있는 김규식과 좌익의 우파라 할 수 있을 여운형을 중심으로 한 좌우합작운동은 비교적 광범위하게 형성되었던 중도적 정치세력의 지지를 받고, 또한 한반도가 공산화되지 않는 한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따라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을 아직은 버리지 않고 있던 미국의 원조를 받으면서 추진되었다. 민족통일국가 수립운동으로서의 좌우합작운동의 실패는 민족분단의 또 하나의 원인(原因)이었다.
좌우합작운동이 실패하고 이승만계열 분단국가 수립획책이 본 궤도에 오르게 되었을 때 민족분단을 저지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서 남북협상이 김구, 김규식 및 북한의 집권층 사이에 기도되었다.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1. 통일 민족국가 수립운동의 실패
신탁통치문제를 둘러싼 좌우의 대립이 심화된 데다가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고 또 이승만 계열에 의한 분단국가 수립이 획책되고 있을 즈음인 1946년 중엽에 통일민족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민족운동으로서의 좌우합작운동이 일어났다. 그러나 좌익의 극좌화 그리고 우익의 극우화가 급격히 추진된 데다가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는 한 편 단독government 수립 획책이 강화되고 미국의 한반도 정책이 단독government 수립대책으로 바뀜에 따라 이 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승만계와 한민당의 반탁운동이 결국 단독 government 수립론으로 나아가게 되자 그는 이 대열에서 이탈하여, 좌우합작운동의 주역이던 김규식과 손잡고 단독government 수립노선에 반대하고 남북협상을 추진했으나 분단국가 수립획책을 저지할 수 없었으며 마침내 남북에 분단국가가 성립됨으로써 민족분단은 기정사실화되었다.
좌우합작운동이 갖는 역사(歷史)적 의미는 이 운동이 제시한 합작조건이 대체로 식민지시대 말기의 독립운동전선에서 형성되어가던 민족연합전선이 제시한 민족국가 수립대책과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또한 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대책과도 그 궤를 같이하고 있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