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와 호칭, 文化와 경영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7 09:58
본문
Download : 문화와 호칭, 문화와 경영의 관계.hwp
가령 우리 식으로
따지면 `과징 정도 되는 사람이 자기 명함에 ‘수석부장’ 또는 `수석
부이사`와 같은 묘한 타이틀을 새기고 다닌다. 몇 번 만나면 금세 이름을 부른다. 실제 칭호와 관련 포르투갈만의 특색
이 있따 대학을 나온 사람이거나 좀 점잖고 말끔한 사람이라면 그냥
박사 칭호(Doutor)를 붙여준다. 물론 이쪽 편 명함에 사장이라고 되어 있으
면 사정이 다르겠지만. 정확한 …(省略)
레포트/경영경제
다. 그래서 포르투갈에는 박사가 많다. 그러나 미국은 다르다. 독일 같은
경우엔 어지간히 친해지지 않으면 너(Du) 대신 당신(Sie)을 쓴다. 반면 포르투갈이나 중남미의 많은 나라가 박사나 엔
지니어를 호칭에 많이 붙인다. 가령 `Herr KIM`이라고 부
른다. 조그만 가게 하나만 갖고 있어도 모두 사장님이
다.
文化와 호칭, 文化와 경영의 관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그런 명함을 받는 한
국 사람은 그 직함에 대하여 막연하게 나보다 낮은 사람은 아니구나
하고 마음을 가다듬는다. 아주 가까운 친구 사이
아니면 이름은 부르지 않고 성을 부른다. 영국
이나 미국은 박사 칭호는 잘 부르지 않는다.
순서
文化와 호칭, 文化와 경영의 관계
문화와 호칭, 문화와 경영의 관계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문화와 호칭, 문화와 경영의 관계경영경제레포트 , 문화와 호칭 문화와 경영 관계
설명




문화와,호칭,문화와,경영,관계,경영경제,레포트
Download : 문화와 호칭, 문화와 경영의 관계.hwp( 53 )
culture와 호칭, culture와 경영의 관계
목차
Ⅰ. culture와 호칭
Ⅱ. culture와 경영
* Reference List
I. culture와 호칭
비즈니스 할 때 culture간에 호칭에 대한 의식도 다르다. 조직 내에서도 타이틀에 대한 직원들의 애착이 각별하다.
외국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이상하게 생각하는 게 타이틀이다. 체면
때문이다 타이틀 신드롬에 걸린 한국 사람을 상대하다 보니 외국사
람들은 본의 아니게 자기들의 타이틀도 부풀린다. 종업원 2-3명 중소기업 사장도, 대기업 사장도 모두 사장넘이
다. 이
공계 분야 사람에 대하여는 기술자라는 뜻의 엔지니어(Engeeiro)나
건축가라는 뜻의 아키텍토(Arquitecto)라는 칭호를 자연스럽게 붙여주
는 일이 많다. 박
사 학위 소지자는 항상 `Doktor`를 붙여준다. 의사의 경우에만 박사
칭호를 붙인다. 우
선 사징심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