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2:19
본문
Download :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hwp
Download :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hwp( 61 )
[건축학],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공학기술,레포트
시대별 르 꼬르뷔제의 작품 分析(분석)
■ 빌라 사보아, 포아시, 파리근교, 프랑스, 1928-1931년경
시골에 자리잡은 이 별장에서 르 꼬르뷔제는 자신이 내세운 현대 건축의 다섯가지 원직을적용시키고 있따 이 작품은 다른 것과 비교할수 없을 정도의 힘과 시적인 면모를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아마도 복합성, 모호성, 모순성들이 내재해 있기 ㄸ문일 것이다. 1층에는 차고, 서비스 공간 등이 자리잡고 있으며, 중심축상에는 다소 표현성이 강한 입구가 있따 입구부 공간은 곡선의 유리벽으로 둘러싸…(투비컨티뉴드 )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
레포트/공학기술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 ,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공학기술레포트 ,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
순서
설명
[건축학] 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1.gif)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2.gif)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3.gif)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4.gif)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5.gif)
![[건축학]%20시대별`르꼬르뷔제`의작품분석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1%B4%EC%B6%95%ED%95%99%5D%20%EC%8B%9C%EB%8C%80%EB%B3%84%60%EB%A5%B4%EA%BC%AC%EB%A5%B4%EB%B7%94%EC%A0%9C%60%EC%9D%98%EC%9E%91%ED%92%88%EB%B6%84%EC%84%9D_hwp_06.gif)
다.
밴츄리는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이라는 그의 저서에서 이건물의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평면을 모호성의 예로, 단순한 외관과 복잡한 내부를 대립성의 예로 들고 있따 이러한 측면은 이미 1층에서 차고로 들어가는 차의 회전반경에 의해서 결정된 구주체계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건물의 네 면중 두면의 기둥들은 벽체선과 일치하고 있는 반면, 다른 두면의 기둥들은 벽체선보다 안쪽으로 후퇴되어 있따 이러한 배열로 해서 겉으로 보기에는 전채 건물의 구조체계가 규칙적이리라고 기대되지만 실제로는 내부의 일부 기둥들은 외주부의 기둥과 열이 맞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