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이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00:58본문
Download : 십이지.hwp
범띠인 사람은 성질이 거칠다고 하고, 소띠는 느긋하다고 한다.
레포트/기타
■ 십이지 : 12동물에 담긴 동양인의 운명코드
■ 신라 능묘의 십이지상
■ 십간십이지
■ 열두 동물의 기원와 관련하여 전해 오는 이야기
■ 십간십이지
십이지와 늘 함께 나타나는 십간십이지는 10간(干)과 12지(支)를 결합하여 만든 60개의 간지(干支)로서 육십간지・육갑이라고도 한다.
중국(中國)의 역법에서 가장 잘 쓰이는 주기(…(drop)




순서
십이지신상의모든것 , 십이지기타레포트 ,
십이지
Download : 십이지.hwp( 84 )
,기타,레포트
설명
십이지신상의모든것
다. 즉 사람의 성질과 운세(運勢)를 점치기도 하고, 나날의 길흉과 방위의 선택 등을 살펴보기도 한다. 결합방법은 처음에 10간의 첫째인 갑과 12지의 첫째인 자를 붙여서 갑자를 얻고, 다음에 그 둘째인 을과 축을 결합하여 을축을 얻는다. 10간은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이고, 12지는 자(子)・축(丑)・인(寅)・묘(卯)・진(辰)・사(巳)・오(午)・미(未)・신(申)・유(酉)・술(戌)・해(亥)이다. 또 병오생(丙午生)인 여성에 관련되어는, 오행설에 의하면 병(丙)은 화(火)이고 오(午)도 화이므로 화에 화가 겹쳤으니 이런 띠의 여성은 불에 불이
겹쳤다고 하여 성격이 거칠어서 남편을 짓밟는다는 속신(俗信)이 있다아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미신이다. 이와 같이 순서에 따라 하나씩의 간지를 구해 나가 60개의 간지를 얻은 후, 다시 갑자로 되돌아온다. 간과 지가 사용된 history(역사) 는 매우 오래된 듯하다. 중국(中國)의 BC 1766~BC 1123년에 걸친 상(商)나라의 역대 왕의 이름을 살펴보면 태갑(太甲)・옥정(沃丁)・천을(天乙) 등 10간의 글자로 된 이름이 많으며, 이것으로 보아 이 시대에 이미 간지를 사용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 십간십이지는 중국(中國)의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과 결합하여 만물의 길흉을 판단하는 데 쓰였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간에 6개의 지가 배당되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