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PEG-7 과 XQuery 기반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9:08
본문
Download : MPEG-7 과 XQuery 기반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_1144360.doc
이 과정에서 이미지 데이터의 물리적
정보들은 정보 추출 함수들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추출되어 사용되지만, 의미 정보들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한다. 하나의 탭을 선택하면 해당 분류에 포함되어 있는
엘리먼트들에 대해 단순한 입력 필드들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브스키마 구조에 관계없이 각 엘리먼트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메타 정
보의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입력할 때, 이미지와 함께 부수적으로 입력되는 텍스트 정보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필드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하여, 메타 정보를 입력하는 노력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인터페이스좌측 화면에 MPEG-7 서브스키마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문가라면 MPEG-7 문서를 생성할 때 문서 구조
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림 2]는 MPEG-7 문서생성 인터페이스의 화면이다. 이 서브스키
마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이미지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MPEG-7 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라도 MPEG-7 데이터를 용이하게 생
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2] MPEG-7 문서 생성 시스템 화면…(투비컨티뉴드 )
순서






MPEG-7 과 XQuery 기반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MPEG-7 과 XQuery 기반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_1144360.doc( 98 )
MPEG-7과XQuery기반멀티미디어디지털도서관시스템
다.설명
MPEG-7과XQuery기반멀티미디어디지털도서관시스템 , MPEG-7 과 XQuery 기반 멀티미디어 디지털도서관 시스템인문사회레포트 ,
1. 서론
2. MPEG-7 문서 생성 시스템
3.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4. XQuery 엔진 시스템
5. 정보검색 엔진 시스템
6. MPEG-7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
7. conclusion(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2. MPEG-7 문서 생성 시스템
MPEG-7 문서 생성 시스템은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 받아, 해당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MPEG-7 메타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들 세 가지
정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세 개의 탭을 이용하여 각각의 정보를 개별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MPEG-7 메타데이터들은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MPEG-7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본 논문에서는 문화재 이미지 데이터를 대상으로하여, MPEG-7 스키마 중에서 이미지와 관련된 부분으로만 이루어진 서브스키마를 작성하였다.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서브스키마 정보를, MPEG-7 데이터에 대한 정보, 이미지에 대한 정보, 문화재에 대한 정보, 3 가지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