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 `골품제`에 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22:34
본문
Download : 신라시대 `골품제`에 관하여.hwp
신라골품제 , 신라시대 `골품제`에 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다. 성골 소멸이후 김춘추가 태종무열왕에 오르면서 이후 신라왕실에서 성골을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어떤 왕족일지라도 7세대 혹은 3세대가 지나면 일정한 왕실친족집단의 범주를 넘어가게 될 때 성골을 진골로 강등한다는 설도 있으나 이 또한 예외가…(drop)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신라골품제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인 골품제도에 관한 자료입니다.






서 론 : 골품제연구의 당위성과 연구 동향
본 론 : 1) 골품제의 성립과정
2) 골품제의 계급구성
3) 골품제의 사회적 성격
결 론
신라의 골품제는 기본적으로 8개의 신분으로 구분된다 흔히들 얘기하는 성골과 진골, 그리고 6두품에서 1두품에 이르기까지 이다.
신라시대 `골품제`에 관하여...
Download : 신라시대 `골품제`에 관하여.hwp( 51 )
신라시대의 신분제도인 골품제도에 관한 자료입니다. 이중 1두품에서 3두품에 이르기까지는 후대에 점차 귀족신분으로서의 의미를 잃고 평민화 된다
우선 두 골을 살펴보자. 성골은 김씨왕족에서도 왕이 될 자격이 있는 최고의 신분계층이다. 이에 반해 진골도 왕족 김씨이지만 왕이 될 자격이 없다고 한다. 두 골품의 차이는 확실치 않으나 일반적으로 왕의 모계혈족이 중요시되어 모계가 김씨왕실 이전의 왕실인 박씨출신이어야 한다는 것이 성골의 조건으로 생각되었으나 진흥왕, 진평왕, 선덕여왕등의 예외가 있어 만족할만한 설명(說明)이 될 수 없고, 또 다른 설로 성골, 진골은 혈통이나 출생에 의한 게 아니라 김춘추가 통혼권을 벗어나 김유신의 동생이라는 가야계통의 여성과 결혼을 했다는데서 비롯했다는 설이 있따 그러나 이는 김춘추의 부친인 용춘의 성골여부가 확실치 않으므로 알 수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