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어법] 우리말 경어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05:24
본문
Download : 우리말 경어법.hwp
문법적으로는 주체를 높이는 존경법,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의 관계에 따라 결정되는 공손법, 지금은 그 용법이 거의 사라진 객체와 주체 그리고 말하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른 겸양법 등이 있다 또 어휘적으로 존대말과 예사말이 나뉘어 있는 경우도 있어 적절한 말을 골라 쓰는 데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Download : 우리말 경어법.hwp( 22 )
I. 가정에서, II. 직장, 사회에서, III. 아침, 저녁, IV. 만나고 헤어질 때, V.전화 예절, VI.소개할 때, VII. 편지 쓰는 법, VIII. 송년, 신년, IX. 생일 축하 , X. 축하, 위로, XI. 문상, XII. 손님맞이, XIII. 건배할 때, , , , , , , , , , , , , , , FileSize : 57K , [경어법] 우리말 경어법 인문사회레포트 , 우리말 경어법 상황에 따른 경어법 직장에서의경어법 가정에서의경어법 전화예절






순서
설명
I. 가정에서, II. 직장, 사회에서, III. 아침, 저녁, IV. 만나고 헤어질 때, V.전화 예절, VI.introduce할 때, VII. 편지 쓰는 법, VIII. 송년, 신년, IX. 생일 축하 , X. 축하, 위로, XI. 문상, XII. 손님맞이, XIII. 건배할 때, , , , , , , , , , , , , , , filesize : 57K
[경어법] 우리말 경어법
레포트/인문사회
우리말,경어법,상황에,따른,경어법,직장에서의경어법,가정에서의경어법,전화예절,인문사회,레포트
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밖의 용언에도 ‘-시-’를 넣을 수 있다 용언마다 ‘-시-’를 넣는 것이 더 높이는 말이라고 생각하여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그것은 옳지 않다. I. 가정에서 가. 지나친 존대는 실례 용언이 여러개 함께 나타날 경우 일률적으로 규칙을 세우기는 어렵지만 대체로 문장의 마지막 용언에 존경법 선어말 어미 ‘-시-’를 쓴다. 지나친 존대는 도리어 예의가 아니고, 모든 용언에 ‘-시-’를 넣는 것이 항상 자연스럽지도 않기 때문일것이다 존경의 어휘가 따라 있는 경우에는 언제나 존경의 어휘를 쓴다. 우리말은 다른 어떤 언어보다도 경어법이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