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방] 우리나라 인쇄술의 歷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4 22:02
본문
Download : [신방] 우리나라 인쇄술의 역사.hwp
또한, 경북 영일에서 발견된 석비는 개인의 재산 소유 現況(현황) 과 사후의 재산 상속을 확인해 주는 기록이 새겨져 있는데, 신라 눌지왕 27년(443)의 것으로 추정되어 현재까지 발견된 신라시대의 석비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경주에서 출토된 청동 함에는 고구려 광개토왕의 위업을 기리는 명문(銘文)이 양주(陽鑄)되어 있는데, 이러한 주조를 위해서는 글자를 새긴 주형(鑄型)을 만들어야 했음을 감안한다면, 그 당시 벌써 이러한 기술이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아 고구려 때 고분 축조용으로 만든 벽돌에도 문자가 음각되어 있고, 경남 의령에서 출토된 6세기경의 금동여래입상에도 명문이 음각되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목판인쇄술이 처음 되기 이전의 것들이다. 이러한 기술은 석판에 장문의 불경을 정각(精刻)하는 단계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예로는 신라 문무왕 17년(677)에 의상대사가 왕명으로《화엄경(華嚴經)》을 돌에 새겨 화엄사에 소장했다는 기록이…(skip)
[신방] 우리나라 인쇄술의 歷史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1.gif)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2.gif)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3.gif)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4.gif)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5.gif)
![[신방]%20우리나라%20인쇄술의%20역사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C%8B%A0%EB%B0%A9%5D%20%EC%9A%B0%EB%A6%AC%EB%82%98%EB%9D%BC%20%EC%9D%B8%EC%87%84%EC%88%A0%EC%9D%98%20%EC%97%AD%EC%82%AC_hwp_06.gif)
다. 삼국시대에 들어와 불교가 융성해지자 석판에다 불경을 조각하거나 이를 탁본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성행하게 되었다. 석각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된 기물에도 문자가 새겨지거나 주성(鑄成) 되었다. 이러한 방법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금석류(金石類) 등의 표면에 문자나 그림을 새기고 이를 탁인(拓印)해 내는 방법인데, 이는 보다 발전하여 목판에 글자의 획을 반대로 새겨서 대량으로 인쇄해 내는 방법과 기술을 낳게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반도에 세워진 최초의 석각비(石刻碑)로는 기원전 85년경으로 추정되는 평남 용강군의 점제현 신사비가 있다아 그 뒤 414년에 고구려의 옛 수도였던 국내성(國內城)에 광개토왕비가 세워졌으며, 신라 진흥왕 때에는 4개의 순수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우리나라인쇄술의역사 , [신방] 우리나라 인쇄술의 역사공학기술레포트 ,
,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신방] 우리나라 인쇄술의 역사.hwp( 75 )
우리나라인쇄술의歷史
순서
Ⅰ서론
1. 인쇄란 무엇인가
Ⅱ본론
1. 우리 나라 인쇄의 기원
1) 사경(寫經)의 활용
2) 금석문의 출현
3) 서사 재료의 활용
2. 통일신라시대의 인쇄
3. 고려시대의 인쇄
1) 목판인쇄술
2) 활자인쇄술
4. 조선시대의 인쇄
1) 활자인쇄술
2)목판인쇄술
Ⅲ 結論(결론)
(2) 금석문의 출현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 세계의 각지에서는 다양한 기록 방식이 있었음을 앞에서 살펴 본 바 있는데, 우리 민족도 인쇄술의 발상(發祥)에 앞서 이미 다양한 방식을 통해 기록을 남겼으며, 이들 방식들이 발전하여 인쇄술 출현의 밑거름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