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발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12:03
본문
Download : 언어 발달.hwp
Carol Chomsky (1969)는 아동이 영어의 통제문 control sentence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러나 언어는 단순한 일직선상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위계적인 구조로 되어...
순서
일연의 단어들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문장이다.
예를 들어 아동 앞에 ‘Mickey’인형과 ‘Donald’인형을 놓고 “Mickey promised Donald to jump.”라는 문장을 들려 준다.
아동이 언어의 위계적 구조에 민감하다는 사실을 experiment(실험)을 통해 밝혀보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는 …(투비컨티뉴드 )






,공학기술,레포트
레포트/공학기술
설명
일연의 단어들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문장이다. 예를 들어 ‘John told Mary to leave’와 같은 문장에서 ‘to leave’는 하나의 절을 구성하는데 이 절에서 주어는 투비컨티뉴드 되어 있다 이 문장에서 내포문의 동사 ‘leave’의 주어를 통제하여 주는 것은 주절의 ‘Mary’이다. 또 다른 예로 ‘John promised Mary to leave.’는 단어가 나열된 일연의 순서는 앞의 예인 ‘John told Mary to leave.’와 같다. 아동이 문장의 위계적 구조에 민감하다면 ‘Mickey’가 ‘jump’ 하도록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문장에서 ‘to leave’의 투비컨티뉴드 된 주어를 통제하는 것은 ‘Mary’가 아니라 ‘John’이다. 영어의 통제문은 내포문의 [to-부정사] 구문의 주어가 투비컨티뉴드 되어 있고 그 투비컨티뉴드 된 주어를 주절의 주어나 목적어가 통제하여 주는 문장 구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언어는 단순한 일직선상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위계적인 구조로 되어 있다 우리가 어떤 언어를 알고 사용한다는 것은 언어의 위계적 구조에 대한 규칙이나 처리 과정을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언어는 단순한 일직선상의 순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위계적인 구조로 되어... , 언어 발달공학기술레포트 ,
언어 발달
Download : 언어 발달.hwp( 99 )
다. 이와 같이 투비컨티뉴드 된 주어를 통제하여 주는 것은 그 문장의 위계적인 구조에 달려 있다 Carol Chomsky (1969)는 5세에서 10세 사이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이해 연출Task acting out task를 사용하여 위와 같은 문장의 구조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이 두 인형 중 누가 ‘jump’하는지를 실제 행동으로 연출하게 하였다.
일연의 단어들이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는 것이 문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