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지식 사회, 그리고 한국 인문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4 01:51
본문
Download : 정보 지식 사회, 그리고 한국 인문학.hwp
말하자면 고도 정보화의 시대에도 정보 기술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고 해결될 수 없는 중요한 정보, 지식, 교육의 영역은 여전히 남아 있따 인문학 교수라면 누구나 아는 이런 사실을 여기 지적해보는 것은 “누구나 다 안다”를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대학의 인문학 교수들이 특별한 관심과 열정으로 대학의 ‘교육정책’에 개입해야 할 영역들을 지금보다 더 왕성하게 규정하고 그 실행을 촉구해야 한다는--말하자면 인문학 교육의 약화에 맞서 그것의 강화 피료썽을…(To be continued )
설명
정보 지식 사회, 그리고 한국 인문학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10) 그러므로 나)번 상황(‘비결정성의 환경’)이나 다)번 상황(‘우호적 환경’)의 경우 역시 ‘내버려 두어도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아... , 정보 지식 사회, 그리고 한국 인문학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Download : 정보 지식 사회, 그리고 한국 인문학.hwp( 25 )
10) 그러므로 나)번 상황(‘비결정성의 environment(환경) ’)이나 다)번 상황(‘우호적 environment(환경) ’)의 경우 역시 ‘내버려 두어도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아...
10) 그러므로 나)번 상황(‘비결정성의 environment’)이나 다)번 상황(‘우호적 environment’)의 경우 역시 ‘내버려 두어도 전개될 수 있는 가능성’이 아니라 지금부터 인문학이 ‘적극적으로 조성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다. 새로운 정보기술은 정보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고 정보 습득과 유통의 속도를 실시간 단위에서 실현시킨다. 비결정성의 environment을 조성하는 일은 인문학이 교육의 영역에서 소통기술의 발전을 어떻게 활용하는가라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따 이미 학부 학생들은 인터넷(Internet)과 웹사이트를 통해 과거 어떤 세대의 학부생들보다도 풍요로운 정보에의 접근로를 확보하고 있따 다중 텍스트를 동시적으로 화면에 띄우고 자유롭게 이 텍스트에서 저 텍스트로 이동할 수 있는 비선형적 하이퍼텍스트(hypertext)는 새로운 텍스트 형식으로 학부생의 학습, 페이퍼 작성, 참조의 수단이자 environment이 되어 있따 향후의 모든 대학들은 지금의 학부생들보다 훨씬 강한 이미지 文化(문화) environment에서 성장하고 과거 어떤 세대의 한국인과도 다른 주체 형성의 과정을 거친 학생들을 상대해야 한다. 인문학 교육은 이런 기술들을 어떻게 교육의 수단으로, 자원으로, 활용할 것인가? 그 새로운 정보기술들이 자동적으로 성취를 보장해주지 않는 영역들은 무엇이며 인문학은 학생들을 어떤 방식으로 그런 영역들에 안내할 것인가? 이를테면 정보기술이 자동적으로 습득을 보장하지 않는 대표적 정보는 판단의 정보와 평가의 정보이며, 정보기술이 자동적 성취를 보장해주지 않는 것은 글쓰기, 사유, 논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