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에 대한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2 15:59
본문
Download :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에 대한 이해.hwp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Download :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에 대한 이해.hwp( 35 )
사업복지인증관리사업의 추진배경 및 경과에 상대하여 설명했습니다.사회복지인증관리사업 ,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에 대한 이해인문사회레포트 ,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사업에 대한 이해
추진배경 및 경과
사업근거 및 주체
기본방향
주요 사업내용
세부 사업내용
⑴ DB망 구축 및 기능·역할
⑵ 인증관리 DB시스템 설치·운영
⑶「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센터」지정운영
⑷「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요원」 위촉
⑸ 사회복지봉사활동 정보관리 및 실적활용
⑹ 인증센터 및 인증요원 지도점검
⑺ 인증센터 지정사항 취소
⑻ 인증요원 위촉사항 취소
⑼ 자문위원회 구성운영
⑽ 중앙 및 시·도협의회간 역할분담
행정사항
추진배경 및 경과
⑴ 추진배경
○ 개인별 봉사활동을 단체·지역·전국적으로 일관성 있게 연대할 수 있는 관리체계 구축 필요
○ 자원봉사자의 중도탈락을 예방하고 사회복지봉사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부여
⑵ 추진경과
○ 2001. 8.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 DB시스템 구축완료
○ 2001. 11.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규정 승인(보건복지부)
○ 2003. 8.현재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센터 1,340개소 지정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요원 2,286명 위촉
사업근거 및 주체
⑴ 사업근거
○ a social worker(사회복지사) 업법 제9조, 동법시행령 제25조제2항,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규정(2001. 11. 보건복지부 승인)
⑵ 사업주체
○ 주 관 : 한국사회복지협의회, 시·도사회복지협의회
○ 주 체 : 보건복지부, 지방자치단체
○ 사업수행 : 자원봉사 활동기관 등(법인, 단체, 시설 등)
○ 시행시기 : 2001. 11. (봉사실적 2001. 1. 실적부터 입력)
기본방향
○ 사회복지봉사활동 실적의 인증관리를 통한 신뢰성 구축
○ 사회복지봉사활동의 efficacy적 운영관리 및 상호협력체계 구축
○ 사회복지봉사활동의 정책통계 제공 및 활성화 기반 조성
○ 사회복지 인적자원의 efficacy적 활용을 통한 참여복지 증진 기여
주요 사업내용
○「사회복지봉사활동 인증관리 DB시스템」구축·운영으로 사회복지봉 사활동실적의 전산화 추진
○ 사회복지 직능별 연합회와 역할을 분담하여 사업의 효율성 제고
- 회원시설 등의 자원봉사실적이 누락되지 않도록 사업참여 협조요청
- 직능단체가 자원봉사활동 現況(현황) data(資料)를 활용할 수 있도록 S/W 제공
- …(省略)
사회복지인증관리사업






레포트/인문사회
다.
사업복지인증관리사업의 추진배경 및 경과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