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환경정책 및 특징과 해결방안(方案) 조사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13:38
본문
Download : 북한의 환경정책 및 특징과 해결방안.hwp
1. 서론
설명
다. 이에 따른 대표적 시책으로는 북한 전역에 자연환 경보호구 및 특별보호구 지정, 10여 개의 환경오염관측소 및 기상수문 관측소 설치, 평양의 평천오수정화장을 비롯한 10여개의 정화장 및 침 전지 건설,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 남흥청년연합기업소, 상원시멘트연 합기업소 등 산업시설에 대한 공해방지시설 설치 등을 들 수 있따
7. 結論(결론)
순서
4. 북한의 environment오염 원인(原因)
Download : 북한의 환경정책 및 특징과 해결방안.hwp( 25 )
북한에서 환경문제가 제기된 것은 1960년대 제1차 7개년계획에 따 라 중공업 우선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화학공업단지 건설 등 공업규모의 양적 팽창과 광산자원 등의 무질서한 개발로 인해 대기 및 수질오염 등 산업공해가 나타나면서부터이다.
3. 북한environment문제의 상황
북한,환경여건,현황,문제점,정책,조사분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6. 북한environment문제에 대한 과제





2. 북한environment문제와 environment법
5. 북한의 environment오염 reality(실태)
목 차
1. 서론
북한의 환경정책 및 특징과 해결방안(方案) 조사分析(분석)
1. 서론 북한에서 환경문제가 제기된 것은 1960년대 제1차 7개년계획에 따 라 중공업 우선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는 과정에서 중화학공업단지 건설 등 공업규모의 양적 팽창과 광산자원 등의 무질서한 개발로 인해 대기 및 수질오염 등 산업공해가 나타나면서부터이다. 1972년 12월에 개최된‘전국자연과학일군대회’에서 김일성은 광공업분야의 공해방지 를 언급하면서, 공장·기업소를 분산배치할 것과 주택지구와 공장을 격리 건설하고 각 공장·기업소에 수질오염 및 매연방지 설비를 구비토 록 촉구하는 등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였다.
정책적 차원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1986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7기 제5차회의에서「환경보호법」을 제정32), 공해방지 및 환경보호를 위한 그 동안의 각종 시책을 체계적으로 입법 화하면서부터이다. 정책적 차원에서 환경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한 것은 1986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제7기 제5차회의에서「환경보호법」을 제정32), 공해방지 및 환경보호를 위한 그 동안의 각종 시책을 체계적으로 입법 화하면서부터이다. 이에 따른 대표적 시책으로는 북한 전역에 자연환 경보호구 및 특별보호구 지정, 10여 개의 환경오염관측소 및 기상수문 관측소 설치, 평양의 평천오수정화장을 비롯한 10여개의 정화장 및 침 전지 건설, 순천비날론연합기업소, 남흥청년연합기업소, 상원시멘트연 합기업소 등 산업시설에 대한 공해방지시설 설치 등을 들 수 있다. 1972년 12월에 개최된‘전국자연과학일군대회’에서 김일성은 광공업분야의 공해방지 를 언급하면서, 공장·기업소를 분산배치할 것과 주택지구와 공장을 격리 건설하고 각 공장·기업소에 수질오염 및 매연방지 설비를 구비토 록 촉구하는 등 환경문제에 관심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