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日本(일본)의 이해.hwp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17:53
본문
Download : 현대 일본의 이해.hwp
이에 저자는 일본인이 질서를 잘 지킬 것이라는 의식이 퍼져 있는 것은 일본인 스스로의 준법 정신보다는 오히려 일사불란한 정신에서 나온 일본인들의 행동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학문과 예술의 창조가 집단보다는 개인의 천재성과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을 생각할 때, 역시 일본은 집단주의적인 文化(culture) 는 학문, 文化(culture) 적 발전에 걸림돌이 되는 요소라고 보고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내가 읽은 책은 ‘콤플렉스의 나라 日本(일본)’이란 책이다. 이 책의 전편격인 <日本(일본)의 빈곤>에서는 한국에 대한 비판도 상당 부분 차지했지만 이 책에서는 日本(일본), 日本(일본)인에 대한 비판이 내용의 주를 이룬다. 집단주의에 익숙해진 일본인들은 개인이 조금만 불편을 감수하면 더 큰, 전체 사회의 질서와 안전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질서와 안전의 이면’의 측면이다.
설명
순서
현대 日本(일본)의 이해.hwp
Download : 현대 일본의 이해.hwp( 19 )





질서를 잘 지킬 것이라는 의식과도 다르게 위법이 실생활 곳곳에서 빈번히 일어나고 있지만 위반에도 패턴이 있어서 아무렇게나 하지 않고 꼭 하는 위반만 예측 가능하게 하는 한다. 좀더 공평하고 공정하게 日本(일본)의 단점과 우리에 단점을 함께 담았으면 하는 욕심이 있었지만 이 책에서는 日本(일본)의 집단주의의 허실, 정신적 빈곤 등의 내용을 부정 : 긍定義(정의) 비율을 8:2정도로 잡고 설명(說明)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책의 저자가 이 전에 집필한 책인 <日本(일본)의 빈곤>이 日本(일본)판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내용에 맘대로 삭제되고 왜곡되면서 日本(일본) 출판사에 의해 철저히 이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가 읽은 책은 ‘콤플렉스의 나라 일본’이란 책이다.
저자가 주로 비판한 내용 중 첫 번째는 ‘단결심, 집단주의의 허실’이다. 지독한 안전위주의 관리 사회이기 때문에 결정의(定義) 시간은 늦어지고 책임의 소재는 점점 불분명해진다. 집단의 구성원으로서가 아니면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사회가 일본 사회라고 말하면서 일본 사회관계를 지배하고 있는 집단주의는 개인성을 억압한다고 주장했다. 좀더 공평하고 공정하게 일본의 단점과 우리에 단점을 함께 담았으면 하는 욕심이 있었지만 이 책에서는 일본의 집단주의의 허실, 정신적 빈곤 등의 내용을 부정 : 긍정의 비율을 8:2정도로 잡고 설명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책의 저자가 이 전에 집필한 책인 <일본의 빈곤>이 일본판으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내용에 맘대로 삭제되고 왜곡되면서 일본 출판사에 의해 철저히 이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책임질 사람이 없는 사회에서 참신한 아이디어나 개혁이 나오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일본이 안전주위를 표방하는 사회이기에 일본인들도 그에 맞춰 돌다리도 두드려 보고 건너는 일을 몸소 실천하고 있다 말 한마디면 끝날 것을 회의를 열고, 거기다 네마와시다 뭐다 해서 회의 전에 opinion 절충하는 절차를 거친다.
현대 일본의 이해,일본
다. 명백한 위반이 오히려 정상처럼 되어 있는 것이다.
저자는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기호대로 상품을 선택하지 못하고 유행이나 브랜드 이름이 일본인들의 상품 선택을 결정하고 지시와 통제가 없으면 오히려 불안해하며 스스로 지시와 통제를 만들어 내는 일본인들의 특성(特性)을 반영해 이를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는 일본인’ 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책의 전편격인 <일본의 빈곤>에서는 한국에 대한 비판도 상당 부분 차지했지만 이 책에서는 일본, 일본인에 대한 비판이 내용의 주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