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lization Exercise]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8:10
본문
Download :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hwp
(중추신경계와 수동구조물 능동구조물이 서로협력해야 건강한 허리를 유지할수 있다)
수동적구조인 인대와 뼈 화셋관절,관절낭 같은 조직이 있구요 능동적 구조인 근육이 있따 수동적 구조물인 인대는 뼈와 디스크를 움직이지 않도록 밧줄로 묶어놓는 역할을 한다. 즉 일단 단단하게 척추와 어깨가 잘 지탱해줘야 나머지 활동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따 이런 단단한 안정성이 깨지게 되면 과운동성이 나타나게 된다. 고정성이 전제되있지않다면 운동성은 떨어지고 약해질수밖에 없다. 어깨는 회선근개(rotator cuff)라고 해서 어깨를 둥그렇게 감싸서 어깨를 지지 고정하는 근육이 있고 허리에는 다열근, 복횡근, 내복사근, 회전근,횡격막,골반저근 등 허리를 지지하는 근육이 있다.
설명
- 우리몸에는 어깨, 경추, 요추 이렇게 안정을 하는 근육들이 있다.
특히 안정성이 깨어져 있을때 과운동성이 나타나게 된다. 과운동성이란 우리몸에서 일어나는 안정성 이상으로 이리저리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lization Exercise]
운동성이 있으려면 고정성은 필수 조건이다.
레포트 > 의학계열
순서
- 우리몸에는 어깨, 경추, 요추 이렇게 안정을 하는 근육들이 있다. 척추에서 안정근이 제대로 작동하지못할경우 척추의 중립구간이 늘어나면서척추가 흔들흔들 움직임이 늘어나게 된다.
다.
- 저운동성 과운동성
Download :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hwp( 73 )
- 우리몸을 움직이려면 일단 고정은 필수이다. 즉 적당히 조직을 잘 잡아주고 안정적으로 지탱해 준다면 과운동성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운동치료학,안정화 운동,Stabilization Exercise
척추 즉 허리뼈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은 2가지가 있따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366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95%88%EC%A0%95%ED%99%94%20%EC%9A%B4%EB%8F%99%5BStabi-3664_01.jpg)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366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95%88%EC%A0%95%ED%99%94%20%EC%9A%B4%EB%8F%99%5BStabi-3664_02_.jpg)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366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95%88%EC%A0%95%ED%99%94%20%EC%9A%B4%EB%8F%99%5BStabi-3664_03_.jpg)
![[운동치료학] 안정화 운동[Stabi-366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C%9A%B4%EB%8F%99%EC%B9%98%EB%A3%8C%ED%95%99%5D%20%EC%95%88%EC%A0%95%ED%99%94%20%EC%9A%B4%EB%8F%99%5BStabi-3664_04_.jpg)

어깨는 회선근개(rotator cuff)라고 해서 어깨를 둥그렇게 감싸서 어깨를 지지 고정하는 근육이 있고 허리에는 다열근, 복횡근, 내복사근, 회전근,횡격막,골반저근 등 허리를 지지하는 근육이 있다. 이렇게 기본적인 뼈와 디스크를 수동적 구조물이 묶어놓고 있으면 능동구조물인 근육이 효과(效果)적으로 척추를 지탱해 주어야지만 허리는 안정적인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