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의 전(傳)에 드러난 문학의 근대성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21:09
본문
Download : 허균의전傳에드러난문.hwp
김동욱, 『허균의 문학과 혁신사상』, 새문사, 1981
허균 허균전 전 허균의전 배경
허균의 전(傳)에 드러난 문학의 근대성
()
④ 당쟁의 격화 ⑤ 수령들의 가렴주구 ⑥ 기형적인 사치 풍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Ⅱ. 허균의 생애
Ⅱ. 허균의 생애
Download : 허균의전傳에드러난문.hwp( 32 )
Ⅳ. 허균傳에 드러난 허균 문학의 근대성 Ⅰ. 시대․사회적 배경
이문규, 『허균산문문학연구』, 삼지원, 1986
Ⅲ. 허균의 전(傳)
Ⅰ. 시대,사회적 배경
이필구, 『〈홍길동전〉에 나타난 허균의 사상』, 공주대출판부, 1991
순서





허균(1569˜1618) 의 호는 교산, 성수, 성성옹, 백월거사이고, 자는 단보이다. 즉 선조 8년 심의겸과 신진 사류 김효원의 반목을 처음 으로 김효원 일파는 동인으로 대사헌 허엽을 중심으로 이황, 조식, 심의겸 일파는 서인으로 이이, 성운의 문인 중심으로 나뉘었다. 여기서 이이는 양파의 대립을 조정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이이의 사후 동인은 남인과 북인으로 분열되고, 이 와중에 壬亂까지 발생하게 된다된다. 좀 더 상세하게 몇 가지를 보면, 외부적인 사건인 임진왜란은 직접적, 물질적 희생만 따져 보더라도 history(역사) 상 유례가 없이 참혹한 것이었다.
허균 허균전 전 허균의전 배경 / <Reference List>
⑦ 민생의 도탄, 정착민의 감소 ⑧ 상업무역의 성행, 시민의식의 싹틈
허균이 살았던 선조․광해군 때는 밖으로는 임진왜란이라는 민족사적 수난, 안으로는 극심한 당쟁의 격화와 민생의 곤궁, 봉건 사회의 체제가 붕괴되고, 근대 사회로 이행되어 가는 사상의 동요를 경험한 다사다난하고, 어지러운 시기였다. 그리고 서자 출신이나 중?하급관료, 기생 등과 인간 관계가 깊었다는 점, 외교관으로서의 경력이 화려했던 점도 특징으로 꼽을 수 있겠다. 당시를 사회상과 민생고로 나누어 보면,
그러나 이런 실제적, 물질적 피해보다 더 중요한 것은 당시 지배층의 무능과 위선이 여지없이 폭로되고 피지배층 민중들의 자의식이 눈 떠 사회의 모순과 갈등을 스스로 해결하고자 중세의 봉건적 권위주의에 대한 저항이 싹트는 사상적 변혁의 계기가 된 점이라고 하겠다. 즉, 중세의 사회체제의 권위를 부정하는 민중들의 각성이 경제, 사회. 문화의 제 분야에서 촉발되어, 계층구조의 동요, 의병 활동과 민란의 속출, 실학의 대두, 서민 예술의 발흥이라는 큰 변혁의 조짐으로 드러나기 처음 한 것이다. 또한 정치적으로는 선조․광해군 때로 이 시기에는 학자, 정치인 사이의 반목과 갈등이 심하였다. 또 儒?佛?道?諸子百家?西學에 이르기까지 지적 욕구가 다양하고 왕성하였다. 30여만명의 인명 피해와 전란 전의 150만결에서 그 1/5인 30만 결로 경작 토지가 감소한 것을 보아도 전쟁 중에 얼마나 국토가 초토화되었는지, 그리고 그 와중에 민생의 고통이 얼마나 심했을지 추측할 수 있따
차용주, 『허균 연구』, 경인문화사, 1998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2』, 집문당, 2000
① 임란의 피해 ② 천변지이-기근과 역병 ③ 산․수․화적의 침몰
이이화, 『허균』, 한길사, 1997
다. 그의 생애를 살펴보면, 몇 가지 특징적인 사실을 발견할 수 있따 그는 젊은 시절 가정적으로 많은 불행을 겪었고, 관직에 나선 이후에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적의와 비난의 대상이 되어 잦은 파직을 당했다.
허균 허균전 전 허균의전 배경 / <참고문헌> 김동욱, 『허균의 문학과 혁신사상』, 새문사, 1981 이문규, 『허균산문문학연구』, 삼지원, 1986 이이화, 『허균』, 한길사, 1997 김현룡, 『허균: 자존의식과 이상향 추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이가원, 『유교반도 허균: 허균의 사상과 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차용주, 『허균 연구』, 경인문화사, 1998 이필구, 『〈홍길동전〉에 나타난 허균의 사상』, 공주대출판부, 1991 황패강, 『한국문학작가론2』, 집문당, 2000 ()
설명
김현룡, 『허균: 자존의식과 이상향 추구』, 건국대학교출판부, 1994
이가원, 『유교반도 허균: 허균의 사상과 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으로 볼 수 있따 여기에 광해군의 집권을 전후한 위옥의 연발, 서얼 세력들의 사회 문제 등이 겹쳐 당시 사회는 안팎으로 아주 어려운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