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사상으로서의 {건국론}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0:59
본문
Download : 통일사상으로서의 .hwp
그러나 분단시대가 장기화되면서 통일에 대한 막연한 염원과는 별도로, 통일 않고도 남북 모두 잘살면 되지 않는가, 심지어는 나만 잘살면 되지 않는가라는 정서가 꽤 넓게 자리잡았고, 단일민족이라고 반드시 단일국가를 가져야 하는가라는 문제제기도 만만치 않다. 실제로 하나의 민족마다 한 개의 독립국가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은 理論(이론)적 근거가 박약할뿐더러, 현실적으로도 지구상의 수많은 복수민족국가 및 다국적 민족들 사이에 일대 혼란을 불러일으키기 알맞은 주장이다. 바로 그랬기 때문에 6·25와 같은 민족사적 대참화를 겪어야 했다는 점에서도 {건국론}의 구체적 제언들이 당시의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지녔었는가를 재검토할 necessity 은 충분하겠다.통일 통일사상 건국론 / (사상)
통일 통일사상 건국론





현시기 통일운동의 기본적 과제(problem)는 첫째 통일의 necessity 에 대한 정확한 인식이요, 둘째 원만한 단계적 통일의 구상을 제시하는 일이다. 하지만 이 발표에서는 그러한 역사적 고찰보다는, 송정산의 논의가 현시국에 마주향하여 도 여전히 의미를 갖는 것인지를 주로 통일작업에서 제기되는 쟁점들과 연관시켜 점검해볼까 한다. 건국에 관한 경륜을 펼친 것 자체가 종교 지도자로서 특이하려니와, 8·15 후 불과 2개월이 지난 시점에서는 당시의 정당이나 정치인 가운데도 이만큼 구체적인 논의를 제시한 예가 드물었다고 생각된다된다.
다.
Ⅱ.
정산(鼎山) 송규(宋奎) 원불교 2대 종법사가 {건국론}을 발표한 것은 1945년 10월의 일이다. 아니, 우리 한민족 자체가 이미 다국적 민족공동체로서 한반도가 통일이 되더라도 단일한 국적을 갖고 모여 살 가망은 없는 상태이다. 한반도의 분단이 민족 대다수의 의사와 반대로 강요되었고 그렇게 형성된 분단현실 역시 반민주적이고 비자주적인 방식으로 지탱되어왔음을 역사적으로 밝히는 작업도 그 일환일 것이며, 오늘날 한반도에 자리잡은 두 개의 분단국가는 어디까지나 분단국가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통일의 necessity ]이라고 하면 새삼스럽게 들릴지 모른다.
순서
통일사상으로서의 {건국론}
Download : 통일사상으로서의 .hwp( 89 )
통일 통일사상 건국론 / (사상)
설명
그러므로 통일의 necessity 을 한민족의 구체적인 역사와 현재 삶에 대한 과학적 分析(분석)을 통해서 제시하는 일 또한 중요하다. 그러나 48년의 남북 단독정부 수립과 뒤이은 동족간 전쟁으로 치달은 우리 현대사에서 그의 주장은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