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동사 구문의 성립 조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0 14:56
본문
Download : 인지동사 구문의 성립 조건.hwp
곧, 인지동사는 인간이 심리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나아가 그것을 적절하게 표출해내는 데 쓰이는 언어형식인 것이다.
. ㄷ. *아버지는 화를 질렀다. 어떠한 동사가 어떠한 의미자질을 요구하는지는 동사마다 틀리다.
4. 인지동사 구문 성립의 문법적인 조건
4.1. 통합관계
4.2. 공기관계
5. 결론
1. 서론
(1) ㄱ. 아버지는 소리를 질렀다.
이처럼 동사는 문장을 구성하는 constituent 들의 자질을 제약하는 문장 구성의 중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 ㄴ. *강아지는 소리를 질렀다.






,기타,레포트
설명
순서
인지동사 구문의 성립 조건
1
레포트/기타
다.
3.2. 정신적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2ㄴ)과 (2ㄷ)의 ‘던지다’는 ‘(손에 잡거나 든 것을) 팔을 움직여 공중을 통해 어떤 쪽으로 내보내다’는 뜻을 지녔는데, 잡을 수 없는 ‘집’과, ‘던지다’와는 잘 공기되는 ‘멀리, 가깝게, 높이, 낮게’ 따위가 아닌 부사와 어울려 비문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많은 동사들 중에서도 ‘인지동사 인지적 행위에 상대하여 우리의 일상활동, 곧 사물 혹은 사태를 observation하고, 이름을 부여하고, 받아들이고,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내면적 활동은 사태를 받아들이고 내면화하는 것이라고 한다. 또 ‘지르다’의 주체가 모두 소리를 낼 줄 아는 ‘사람’과 ‘강아지’라도 사람이 아닌 짐승은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내다’, ‘(울음을)짖다’ 등과 공기되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1ㄴ)도 비문이 되는 것이다.1 , 인지동사 구문의 성립 조건기타레포트 ,
Download : 인지동사 구문의 성립 조건.hwp( 73 )
논문입니다.
. ㄴ. *나는 집을 던졌다.
1. 서론
2. 인지작용의 과정
3. 인지동사 구문 성립의 의미적인 조건
3.1. 내적인 경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지르다’는 ‘(목청을 높이어 소리를)크게 내다’라는 뜻으로 ‘소리’의 속성을 지닌 것과 어울려야 한다. 앞으로 이 글에서 쓰이는 인지동사의 의미는 이러한 관점을 기본으로 한다.
3.3. 심리적인 행위를 보여야 한다. 곧, 담화 맥락이나 발화상황, 세계에 대한 지식, 경험적 증거에 기반하여, 사태를 자기화하는 과정을 거쳐 문장으로 적절하게 표현해 내는 과정이 ‘인지동사’로 언어화하는 것이다.
. ㄷ. *나는 공을 크게 던졌다.
(2) ㄱ. 나는 공을 던졌다. 이건수(1993) 참고.
’를 선택해 문장구성에 필요한 의미자질이 어떻게 제약되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인지동사 구문…(drop)
논문입니다. 따라서 (1ㄷ)은 어색한 문장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