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통사구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3 17:02
본문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hwp
다.
라. 대학생i이 [PROi [모두]N′]NP가 왔다. 즉 위에서 NP는 소절인 명사절이 되는 셈이다.



설명
국어의통사구조
,인문사회,레포트
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3
Download : 국어의통사구조.hwp( 20 )
레포트/인문사회
(8) 가. 대학생이 세 명이 왔다. 대학생이 모두가 왔다.
(10) 가. *학생i이 맥주를 [PROi…(생략(省略))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8)에서 [PROi 세 명]NP과 [PROi 모두]NP는 굴절요소가 없는 소절로 간주된다된다.
순서
국어의통사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국어의통사구조-시리즈3 , 국어의통사구조인문사회레포트 ,
다.
나. 대학생i이 [PROi [세 명]N′]NP이 왔다. 이때 PRO는 ‘세 명’과 ‘모두’로부터 의미역을 받고, 선행사인 ‘대학생’에 의해 통제된다고 불 수 있다
이러한 소절의 기저구조는 첫째 [세 명]이 명사구 소절이므로 여기에 격표지가 붙을 수 있다는 점이 자연스럽게 설명(說明)이 되고, 둘째 소절의 성격을 부가소절로 상정하였으므로 이들이 부사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쉽게 설명(說明)할 수 있으며, 셋째 통제theory(이론)을 이용하여 문제가 되는 문장들을 구조적으로 설명(說明)할 수 있다는 advantage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4. conclusion(결론) 및 남은 문제
4.1. 구조적 설명(說明)력의 한계와 표지의 기능
다음의 문장은 어떻게 설명(說明)될 수 있는가?
(9) 가. *학생이 맥주를 [세 명] 마시고 있다
나. 학생이 맥주를 [세 명]이 마시고 있다
이 논문의 가정에 따르면 (9)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