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흥 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1 08:45
본문
Download : 장흥 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hwp
이것이 현재 지방·지역사(歷史) 연구의 결점이자 활성화시키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아
최근 지역별 연구
가 활발해지고 다량의 새로운 자료(資料)
가 발굴됨에 따라 갑오농민전쟁의 연구에서 각 지역별 characteristic(특성)을 간과해서는 안되고, 이에 따라 전남지역 연구 또한 빠져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임이 확인되었다
. 즉 공주 우금치전투 이후에도 광주·나주·영암·여수·광양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장흥과 강진지역에서는 Japan군과 관군에 저항하는 대규모의 전투가 몇 order (차례) 벌어져 엄청난 인명의 살상이 있었고 이를 기점으로 전투다운 전투는 일어나지 않아 사실상 농민전쟁의 종결 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던 것이다.
장흥·강진지역의농민전쟁전개와역사적성격에관한연구
장흥 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
Download : 장흥 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hwp( 44 )
,인문사회,레포트
1. 머릿말
2. 농민군의 활동과 반농민군의 대응
1) 집강소 활동기
2) 2차 기병결정과 농민군 북상 시기
3) 구원군의 도착과 퇴각농민군 합류시기
3. 농민군과 관군의 전투
1) 벽사역 공격과 장령성 점령
2) 강진현과 병영점령
3) 관군의 남하와 석대들 전투
4) 해남지역 전투
4. 原因과 역사(歷史)적 의의
1) 原因
2) 역사(歷史)적 의의
5. 맺는말
1894년에 일어난 갑오농민전쟁은 거시적으로 파악할 때 개항 이후 조선사회가 직면한 내외적 모순의 총체적 폭발로 일어났다고 할 수 있다아 그러나 미시적으로 본다면 지역별 차이가 지역적 전투상황이라든지 집강소 활동에 영향을 주어 지역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농민전쟁을 연구할 때 이 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해야 할 것이나 지방·지역사(歷史) 연구는 후자에 더 치중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발표된 논문을 주목한다면, 이 지역의 농민전쟁 전개를 주로 동학교단과의 관련에서 파악하여 동학포교 시기라든지 교단조직의 확대와 교인의 수, 그리고 교도들과 관(官)과의 갈등에 주목하였다.
이런 점에 주목하여 최근에 장흥·강진 지역을 다룬 몇 편의 논문
이 발표되었고, 또 그 지역의 후손으로부터 증언을 채록하여 요약한 ‘증언록’
이 발간되어 당시 상황을 비교적 생생하게 전달해 줄 수 있게 되었다.장흥·강진지역의농민전쟁전개와역사적성격에관한연구 , 장흥 강진지역의 농민전쟁 전개와 역사적 성격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뒤는 일방적으로 Japan군과 관군의 추격과 보복적인 살육전이 전개되었을 뿐이었다. 이런 연구는 동학교단이 어떠한 측면에서든지 갑오농민전쟁에 기여하였다는 전제에서 출발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입각한 연구는 결과적으로 장흥·강진 지역에 동학교도들이 얼마나 많았고 어떤 활동을 하였는가…(drop)
순서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본 는 1894년에 일어난 갑오농민전쟁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 그밖에도 지역 답사기
가 여러 형태로 발표되어 그 지역의 characteristic(특성)과 전투상황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본 자료는 1894년에 일어난 갑오농민전쟁에 대해 작성된 리포트입니다.